코로나 할퀸 40개월 … 가계빚 11% 급증

김정환 기자(flame@mk.co.kr) 2023. 5. 11.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경제에 남긴 후유증
1인당 명목소득 443만원 늘때
고물가로 실질소득 98만원↑

◆ 코로나 엔데믹 ◆

정부가 11일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했지만 3년4개월간의 팬데믹이 한국 경제에 남긴 상흔은 뚜렷하다.

재난지원금 등 정부 지원이 늘며 3년간 1인당 명목소득은 443만원 늘었다. 그러나 물가 급등으로 인해 실질소득은 98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각종 현금성 지원을 하느라 나랏빚은 310조원 불어났고, 부동산 '빚투(빚내서 투자)' 여파로 가계빚도 역대 최대치로 쌓였다. 이날 매일경제가 기획재정부·한국은행·통계청 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민 경제 변화상을 분석한 결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20년 3777만원에서 지난해 4220만원으로 11.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팬데믹 충격 이후 성장률 기저 효과와 재난지원금 등의 영향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돈의 힘으로 파국은 막았지만 풀린 유동성은 고물가 등 독이 돼 돌아왔다. 2020년 0.5%에 그쳤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5.1%로 뛰었다. 팬데믹 사태 이후 지난달까지 누적 물가 상승률은 10.7%에 달했다. 물가 급등에 실질소득은 3530만원에서 3628만원으로 2.8%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은도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돈줄을 풀며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껑충 뛰었다. 국민이 대출을 받아 투자에 나서며 최근 3년간 가계빚은 255조원 불어나 경제위기의 최대 뇌관이 됐다. 이 기간 국내 가구 평균 부채는 8256만원에서 9170만원으로 11.1% 늘었고, 전체 가계빚은 1867조원(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산가격 상승과 늘어난 빚 부담 등에 빈부 격차 역시 커졌다. 계층 간 소득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순자산 지니계수(값이 클수록 불평등)는 2020년 0.602에서 2022년 0.606으로 올랐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미뤄졌던 구조 개혁을 단행하면서 양극화 문제까지 풀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경제 효율성을 높이는 대책이 선행되지 않으면 앞으로 한국 경제는 성장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