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전망 1.8→1.5%…물가상승률 3.5→3.4%
반도체 경기·중국 경제 회복이 변수…금융시장 경색 우려도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박원희 기자 =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5%로 내렸다.
소비자물가는 상승률 둔화 흐름이 기존 예상보다 더 빠를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부터는 수출이 반등하면서 경기가 점차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수요 회복 시기와 금융시장 불안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KDI, 올해 성장률 1.5%로 하향…내년은 2.3% 전망
KDI는 11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했다.
지난 2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예상한 1.8%보다 0.3%포인트(p) 낮춘 수치다.
KDI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6%보다 낮고,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의 1.5%와 같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1.6%보다도 낮은 수치다.
KDI는 수출 위축에 따른 경기 부진이 지속하는 상황을 고려해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하고,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부진이 완화하고, 서비스업 생산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고용시장은 양호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파급효과와 반도체 수출 부진 완화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는 2.3%를 내놨다.
대외 수요가 회복되고, 수출이 다시 반등하면서 내년 하반기에는 거시 경제가 정상적인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물가 상승률 3.4% 전망…원유는 배럴당 76달러 예상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4%로 전망했다.
지난 2월 발표한 3.5%를 소폭 낮춘 수치다. 물가 상승세 둔화가 예상보다 더 빠르다는 의미다.
정부(3.5%)와 한은(3.5%), IMF(3.5%), OECD(3.6%)의 전망치보다는 낮지만, 지난달 전망치를 재산정한 ADB(3.2%)보다는 높다.
KDI는 수입 물가 하락세 전환 등 공급자 측 물가 압력의 축소로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면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여전히 근원물가 상승세는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만큼, 당분간은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당초 예상과 달리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지연된 부분도 물가 상승률 전망치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올해 원유 도입 단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76달러 수준으로 예상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점진적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내년에는 배럴당 68달러 안팎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공급 감소와 경기 악화 우려에 따른 수급 불안으로 국제 유가에 높은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는 점은 불안 요소로 거론했다.
반도체 수요 회복 시기는 위험 요인…금융시장 불안 가능성도
KDI는 우리 경제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높은 메모리 반도체에 치중돼있어 경기 하락에 더욱 취약하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경기 관련 주요 지표들은 올해 2·3분기에 저점을 찍은 뒤 반등할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 반도체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지 못한다면 경제 회복도 지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정 실장은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매우 더디다면, 1% 초반 정도까지 성장률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경제의 회복 정도도 변수로 꼽혔다.
KDI는 중국이 경제활동 재개 후 민간 소비와 투자를 중심으로 경기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특히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생산과 소비 지표 개선이 뚜렷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러한 경제 회복이 중국 내 서비스업에 국한되고 투자 부문으로 파급되지 못한다면 우리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 에너지 가격과 주요국의 고금리 기조 지속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 악화로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세가 다시 확대된다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발생해 경기 부진이 지속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주요국 신용위험이 확대되면서 금융시장이 경색되는 경우, 세계 경제 회복이 지연돼 수출 부진이 심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traum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가수 에일리, '솔로지옥' 출신 최시훈과 내년 4월 결혼 | 연합뉴스
- "첫사랑 닮았다" 여직원에 문자 보낸 부산경찰청 경정 대기발령 | 연합뉴스
- '선착순 4만원' 청년 문화비, 공무원들 미리 알고 쓸어가 | 연합뉴스
- 공항서 마약탐지 장비 오류로 30대 여성 생리대까지 벗어 몸수색 | 연합뉴스
- 허정무 전 국가대표팀 감독, 대한축구협회장 선거 출마 | 연합뉴스
- 생전 母 꿈 위해 뿌리찾는 벨기에 입양한인 子 "여정 완성 희망" | 연합뉴스
- 문신토시 끼고 낚시꾼 위장 형사들, 수개월잠복 마약범 일망타진 | 연합뉴스
- 한국-호주전 도중 통로 난입한 도미니카공화국…훈련 방해까지 | 연합뉴스
- '손흥민 인종차별' 벤탕쿠르에 7경기 출전정지+벌금 1억8천만원 | 연합뉴스
- "중국인 모이면 소란 피우는 빌런 발생"…서교공 민원답변 논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