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연속 이어진 이례적 라니냐 '주범'은 호주 대형 산불

엄남석 2023. 5. 11. 11: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019∼2020년 호주에서 발생한 재앙급 산불이 태평양 열대 바다의 수온을 끌어내려 이상기후를 유발하는 라니냐가 3년 연속 이어지게 만든 원인이 됐다는 연구 결과가 11일 나왔다.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의 존 파술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호주 산불이 기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불 대기 배출물이 기후 상호작용 일으켜 라니냐 유발
2019년 11월 호주 산불화재 현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난 2019∼2020년 호주에서 발생한 재앙급 산불이 태평양 열대 바다의 수온을 끌어내려 이상기후를 유발하는 라니냐가 3년 연속 이어지게 만든 원인이 됐다는 연구 결과가 11일 나왔다.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의 존 파술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호주 산불이 기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동남아시아와 호주 지역에는 강수량 증가로 홍수를 일으키고 페루와 칠레 등지에는 가뭄을 가져오는 라니냐는 드문 현상이 아니지만, 2020∼2021년에 시작돼 지난겨울에 끝나며 3년 연속 이어진 것은 희귀하다고 한다.

이 라니냐는 태평양 열대 해역의 수온이 올라 라니냐와 반대되는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엘니뇨 뒤에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사례로도 기록됐다.

NCAR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남반구의 대형 화산폭발 등이 라니냐를 촉발했을 수도 있는 것으로 추정해 왔는데, 파술로 박사팀은 약 4천600만 에이커(18만6천150㎢)를 태운 호주의 대형 산불이 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NCAR 와이오밍 슈퍼컴퓨팅센터의 첨단 컴퓨터 모델을 이용해 호주 산불이 역사적 규모로 커지기 이전인 2019년 8월부터 위성으로 관측된 산불의 대기 배출물과 일반적인 산불에서 상정하는 배출물로 나눠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산불의 대기 배출물은 남반구를 곧바로 감싸고 연쇄적인 기후 반응을 촉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산폭발 때와 달리 산불의 대기 배출물은 대기 상층부로 높이 올라가지 않아 태양 빛을 반사해 기온을 낮추는 작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산불 배출물로 형성된 에어로졸이 남반구 전체, 특히 페루 연안의 구름 마루를 밝게 해 공기를 차고 건조하게 만듦으로서 궁극에는 남·북 무역풍이 만나는 지역을 변화시켜 태평양 열대 바다의 수온을 낮추는 라니냐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술로 박사는 "컴퓨터 모델이 연기와 구름 에어로졸 간 작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밝혀낼 수 있게 된 기후 상호작용의 루브 골드버그(연쇄반응) 장치"라고 했다.

그는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많은 사람이 호주 산불에 관해 곧바로 망각했지만 지구는 긴 기억을 갖고있다"면서 "호주 산불의 영향은 수년간 사라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eomn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