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달라 멀어졌지만, 형의 죽음에 그리움만…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2023. 5. 11. 03: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엘리아 카잔 감독의 영화 '워터프론트'(1954년)에서 주인공 테리(말런 브랜도)는 악랄한 부두 노조 지도자의 '오른팔'인 형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는다.

조선 시대 문신 심의(1475∼?)도 세상 사람들이 손가락질하는 형으로 인해 고초를 겪었다.

영화 속 테리는 노조 지도자의 범죄를 감추기 위해 자신을 회유하려는 형 찰리의 제안을 거절하면서, 한때 전도유망한 권투 선수였던 자신을 범죄 세계로 끌어들인 형을 원망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시를 영화로 읊다]〈58〉형 생각에 잠 못 이루는 밤
영화 ‘워터프론트’에서 테리(오른쪽)는 노조 지도자의 범죄를 돕는 형 찰리를 안타까워한다. 소니픽처스엔터테인먼트 제공
엘리아 카잔 감독의 영화 ‘워터프론트’(1954년)에서 주인공 테리(말런 브랜도)는 악랄한 부두 노조 지도자의 ‘오른팔’인 형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는다. 조선 시대 문신 심의(1475∼?)도 세상 사람들이 손가락질하는 형으로 인해 고초를 겪었다. 다음은 시인이 형을 추모하며 쓴 시다.

어느 밤 관사에서 잠을 이루지 못하던 시인은 갑자기 영문 모를 눈물을 흘린다. 애끓는 기러기 울음을 핑계 삼지만 실제론 죽은 형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었다. 시인의 형 심정은 남곤과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 등 선비들을 참소해 죽음에 이르게 한 인물이었다. 말과 행동이 교활하고 권모술수에 능하여 당시 사람들이 꾀주머니(智囊)라고 불렀다(‘己卯黨籍補’). 시인은 형이 잘못될까 항상 걱정했지만 형은 말을 듣지 않았다.

영화 속 테리는 노조 지도자의 범죄를 감추기 위해 자신을 회유하려는 형 찰리의 제안을 거절하면서, 한때 전도유망한 권투 선수였던 자신을 범죄 세계로 끌어들인 형을 원망한다. 찰리는 지난 잘못을 회개라도 하듯 테리에게 총을 넘긴 뒤 노조 지도자 일당에게 죽음을 맞는다. 형제가 차 뒷자리에서 마지막 나눈 말은 혈육의 정을 드러내는 대사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분노의 주먹’(1980년)을 비롯해 훗날 다른 영화에도 인용된다.

시인과 형도 생각이 달랐지만 우애는 깊었다. 형이 살아있을 때 시인은 형의 집에 갔다가 쥐구멍을 보고 “이것은 형이 훗날 나가고 싶어도 찾지 못할 구멍이니, 오늘 시험 삼아 한번 나가 보는 게 어떻소”라고 농담한 적이 있다. 그 뒤 형이 사사(賜死)되자 시인은 울면서 “쥐구멍이 저기 있건만 형은 어디 갔는가”라고 슬퍼했다(‘寄齋雜記’).

시인은 형과 반목했다는 세평으로 인해 형의 죄에 연루되진 않았지만, 형에 대한 그리움을 종종 시에 드러냈다. 형제간 추억이 시인의 마음을 저리게 해서 형이 심은 나무만 봐도 눈물이 났다(‘到政丞兄家, 拭淚偶吟’).

옛사람들은 형제란 몸만 나누어졌지 기운은 서로 연결된 사이라고 생각했다. 세상이 증오하는 악인일지라도 형에 대한 안타까움마저 거둘 수는 없었다. 시에서 말한 까닭 없는 눈물이란 공자가 한 말에서 연유한 것이다(禮記 ‘檀弓上’). 슬퍼할 뿐 어떤 도움도 줄 수 없던 자신에 대한 자책감이 드러난다.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