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하기] “전기차 충전 스트레스”…충전 방해도 급증

KBS 지역국 2023. 5. 10. 19: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 김현수입니다.

요즘 이렇게 파란색 번호판,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친환경차가 도로에 부쩍 많아졌죠.

2013년 1,400여 대에 불과했던 국내 전기차는 지난해 39만 대까지, 260배 넘게 늘었는데요.

동시에 관련 민원도 많아졌습니다.

"아파트에는 충전기가 몇 대 없고, 주변 공공기관은 '완속'이라 충전이 오래 걸린다." "공휴일도 주말도 아니었는데,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소가 모두 이용 중이라 결국 요금소를 빠져나와 충전하고 다시 고속도로를 이용했다." 이런 글이 인터넷에 쏟아지는데요.

전기차는 급증했는데, 충전소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걸까요?

일단 충전소 역시 많이 늘긴 했습니다.

지난해 전기차 충전소는 20만 5천여 곳이었는데요.

전기차 대수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 싶기도 하지만, 급속충전기만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급속충전기는 전기차 18대, 19대당 1대꼴로 설치돼있는데요.

대전의 경우 전기차 24대, 25대당 1대꼴로 더 열악했습니다.

또, 설치된 충전기를 제대로 이용하기 힘든 경우도 많습니다.

[김성태/한국전기차사용자협회장 : "충전기가 고장 난 게 좀 많이 있어요. 한 달 이상, 심지어 한 반년 이상 방치된 사례도 제가 봤고요. 주차장에 있는 충전기들은 충전이 끝났는데 충전을 계속하고 있어서 다른 전기차가 충전을 못 하는 경우들이 굉장히 많이 있어요."]

얼마 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면서 논란이 됐던 사진인데요.

전기차 충전 구역에 SUV 차량이 주차돼 있습니다.

그런데 이 차량은 전기차 모델이 없는 차량이었는데요.

충전기도 꽂혀 있어서 봤더니, 기름 넣는 주유구에 충전기만 꽂아두고 충전하는 척, 일명 꼼수 주차를 한 겁니다.

뒤로 보이는 건 아산의 한 신축 아파트 주민이 직접 촬영한 사진과 영상입니다.

6시간 가까이 충전하고 있는 차량도 있고요.

또, 한 차량은 너무 충전을 오래 하고 있어 봤더니, 이미 충전이 끝나있었습니다.

이 차량들은 전기차도 아닌 하이브리드 차량들, 2시간 정도면 충전이 가능한데요.

충전을 빌미로 사실상 주차 공간을 점유한 겁니다.

영상을 촬영한 주민은 "차 빼달라고 전화하면 목소리를 높이게 되고, 전화번호조차 남기지 않은 차도 있다"고 토로했는데요.

현행법상 급속충전기를 1시간, 완속충전기를 14시간 넘게 사용하거나, 전기차가 아닌데 전기차 충전 구역에 주차하는 등 다른 전기차의 충전의 방해할 경우, 2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19년부터 전국의 충전 방해 사례는 해마다 급격히 늘었습니다.

지난해 7월까지 집계된 것만 4만 6천여 건으로 2019년 전체 대비 8배가 넘게 늘었고요.

특히 천안은 지난해 단속 건수가 전년 대비 100배 가까이 폭증했습니다.

이처럼 아직은 불편한 전기차 사용 환경에 충전소를 늘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기존에 이미 있는 시설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이호근/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 "예를 들면 공공주택이라 하더라도 완충된 이후에는 조금 차별적으로 벌과금 형식의 주차 요금을 물리면서라도, 결국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을 바로 빼고 다음 가동률을 높이는 이런 방안들을 연구해야 하지 않을까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이 탄소 중립을 목표로 전기차 보급에 힘쓰는 상황 속, 우리나라도 2035년까지 무공해차 전환 목표 설정을 추진한다는 게 현 정부의 공약인데요.

과연, 관련 인프라는 부족함 없이 따라가고 있는지, 촘촘한 대책이 함께 있어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