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유통 3740만개… 법원도 `위믹스` 거래 재개 기각

신하연 2023. 5. 10. 19: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때 K-코인 대장주로 꼽혀
[연합뉴스]

'코인 논란'으로 연일 곤욕을 치르고 있는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명 자료에 이어 공식 사과까지 했으나 의문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분위기다. 한국게임학회에서 10일 성명을 내고 "위믹스와 P2E(Play to Earn·돈버는 게임) 게임에 대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이익공동체를 해체하고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관련 의혹에 다시 한 번 불씨를 당겼다. 몇 년 전부터 P2E 업체와 협회, 단체가 국회에 로비하는 것 아니냐는 소문이 무성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 의원이 위믹스 코인을 보유하게 된 경위에 대해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정치권과 연관된 이른바 '위믹스 게이트'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김 의원이 지난해 초 대선 당시 민주당 대선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온라인 소통단장을 맡았다는 점도 연결고리로 주목되고 있다. 김 의원은 3·9 대선을 한 달 앞둔 지난해 2월 7일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시 이재명 대선 후보의 선거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대체불가능토큰(NFT) 기반 펀드'를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위믹스 역시 게임 아이템이나 캐릭터를 가상화폐나 NFT로 발행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대표적인 NFT 테마 코인으로 꼽히는 만큼 또다른 이해충돌 이슈가 될 전망이다.

◇2022년 초 김 의원 가상화폐 지갑으로 위믹스 87억원어치 전송= 블록체인 전문매체 디지털애셋이 김남국 의원의 지갑 주소를 통해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초 가상자산거래소 빗썸 핫월렛을 통해 87억원 상당의 위믹스 코인 132만여개가 김 의원 가상화폐 지갑으로 전송됐다.

1월 21일 세 차례에 걸쳐 42만 위믹스(당시 가격 27억6000만원 상당)가 이체됐고,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90만 위믹스(당시 가격 59억4000만원)가 이체됐다는 것이다.

이는 LG디스플레이 주식 매각 대금으로 가상자산을 매입했다는 김 의원의 해명과도 배치된다.

익명을 요구한 가상자산 지갑업체 개발자는 "블록체인 상에서 받은 기록이 있으면 어떤 주소에서 왔는지도 추적 가능하다"면서도 "다만 해당 주소는 단순히 블록체인 상에서의 주소이기 때문에 실소유주가 누구인지 특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가상화폐 관계자는 "김 의원이 떳떳하다면 해당 의혹을 해명할 수 있는 온체인 데이터를 공개하면 끝나는 단순한 문제"라면서 "위믹스의 프리 세일(공개 전 사전판매)에 참여했거나 장외거래로 대량 매수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데, 이 경우 대가성 여부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획보다 3740만개 초과 유통된 위믹스= 논란의 중심이 된 위믹스 코인은 과거 '중대한 유통량 위반'으로 한 차례 홍역을 앓은 바 있다.

위믹스는 국내 게임업체 위메이드가 자체 발행하는 코인으로, 당시 '돈 버는 게임(P2E)' 열풍과 함께 K-코인 대장주이자 가상화폐 성장주로 손꼽혔다. 2021년 말에는 개당 가격이 최고 3만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유통량 허위 공시 등이 문제가 되면서 주요 가상화폐거래소에서 퇴출(상장폐지)됐다. 이후 두 달여 만에 가상화폐거래소협의체(DAXA·닥사) 소속 원화거래소 코인원에 재상장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현재 가격은 1000원대 초반이다.

당시 위메이드는 즉각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닥사 손을 들어줬다. 당초 위믹스 유통 계획서에 따르면 10월 말까지 2억4500만개 코인이 유통돼야 하는데 실제 유통량은 3억1800만개로, 7000만개 이상의 차이가 발생했다. 10월 중순 가격(개당 2500원)으로 계산하면 1750억원에 이르는 거액이다.

재판부는 이 중 코코아파이낸스에 담보대출 목적으로 제공한 3580만개를 제외하더라도 3739만918개의 위믹스가 다른 지갑으로 옮겨졌거나 실제 유통에 사용됐다고 판단했다.

이 물량이 국회의원이나 보좌관들 로비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코인 논란' 왜 커졌나= 코인 논란은 앞서 한 매체 보도를 통해 김 의원이 지난해 1~2월 가상화폐 위믹스 코인을 60억원가량 보유하고 있었고, 가상자산 실명제 '트래블룰'(Travel Rule) 실시(3월 25일) 직전인 2월 말~3월 초 해당 자산을 전량 이체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졌다.

이후 김 이원은 8일 본인의 계좌 내역을 공개하며 "2021년 LG디스플레이를 매각한 9억8574만원이 가상자산 초기 투자금이었다"고 밝혔지만, 오히려 2022년 재산 내역에 가상자산 연계 계좌와는 무관한 농협은행 계좌를 통해 10억원 가량이 증액하며 의문을 샀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당내 지도부 인사에게 "코인이 오르니까 투자 원금인 9억8000여만원을 회수했다"고 밝혔으나 당내에서도 비판여론이 일자 결국 논란 나흘 만일 만인 9일 오후 "민생 위기 속에 공직자로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했다"며 개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사과글을 올렸다.

코인 현금화에 대해서도 말이 바뀌었다. 처음엔 대선 전후인 지난해 1~3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로 인출한 현금이 모두 440만원이라고 주장했고, 한 언론엔 "코인을 현금화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논란이 커지자 "지난해 2월 전세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해 8억원을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은행에 이체했다"고 번복하기도 했다. 신하연기자 summer@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