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中 공장 반도체 장비 반입 별도기준 검토… “불확실성 해소 기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반도체 첨단 장비 반입을 허가할 수 있다는 소식에 업계는 긍정적으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 첨단장비의 대 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생산활동을 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 별도의 장비 반입 기준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한국 기업을 위한 반도체 장비 반입 기준을 따로 마련하면 중국 공장 운영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반도체 첨단 장비 반입을 허가할 수 있다는 소식에 업계는 긍정적으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 첨단장비의 대 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고 있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생산활동을 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 별도의 장비 반입 기준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대 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를 취하면서도 중국에 반도체 생산 거점을 운영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1년간 수출통제 유예’를 적용한 바 있다. 이는 두 기업이 올해 10월까지는 중국 공장에 반도체 장비를 들여올 수 있으나 11월부터는 불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수출통제 유예 기간을 1년 더 연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번에는 기간 제한 없이 ‘별도 기준’을 전제로 반도체 장비의 중국 공장 반입을 미국 정부가 허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거론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한국 기업을 위한 반도체 장비 반입 기준을 따로 마련하면 중국 공장 운영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매년 규제 유예 조치를 갱신할 필요 없이 아예 영구적인 기준이 만들어지면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장비 반입 기준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은 데다, 미국 정부가 다른 조건을 걸 수도 있어 업계에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전체 낸드 중 40%를 생산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의 각각 40%와 20%를 우시와 다롄 공장에서 양산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