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제치고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인도

강현철 2023. 5. 10. 16: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도가 중국을 대체해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중 간 갈등이 확대되고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으로 인해 '사업 리스크'가 커지면서 중국에서 탈출해 인도로 향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인도가 '세계의 공장'으로 일컬어지는 중국의 경쟁자로 부상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력과 내수시장 탄탄…인구도 중국 넘어설 듯
제조업 수출·FDI 호조…인허가 등 장애물도 여전
연합뉴스

인도가 중국을 대체해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중 간 갈등이 확대되고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으로 인해 '사업 리스크'가 커지면서 중국에서 탈출해 인도로 향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중국과 맞먹는 규모의 인구를 가졌다는 것도 인도의 매력으로 꼽힌다.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인도가 '세계의 공장'으로 일컬어지는 중국의 경쟁자로 부상했다고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서방 회사들은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으로 명명된 전략 아래 필사적으로 중국의 대체지를 찾고 있는데, 인도가 '플러스 원'이 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도는 중국의 규모에 필적할 노동력과 내수시장을 갖고 있다. 인구가 세계 최대일 수 있다는 유엔 보고서가 최근 나오기도 했다.

서방 정부들은 민주 체제의 인도를 자연스러운 파트너로 보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이전보다 더 친기업적인 환경을 조성하고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도가 변화하고 있다는 신호는 인도 남부 경제 중심지 첸나이 인근의 스리페룸부두르 내 산업단지들이 크게 확장하고 있는 데서도 나타난다. 이곳에서는 자동차와 가전에 이어 태양전지판, 장난감, 신발에 이르기까지 다국적 제조업체들이 밀려들고 있다. 이들 모두 중국 공장의 대체지를 찾고 있기도 하다.

중국이 물론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기지라는 지위는 여전하지만, 최근 잇따른 사태는 기업들에 중국 밖 대체지를 찾고 있게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노동비용이 계속 오르고 있고, 중국 경쟁업체들에 기술을 이전하라는 중국 당국의 압력도 커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코로나19 사태로 국경이 봉쇄된 것이나 서방 정부들이 미국의 압력에 따라 중국과 거리두기에 나선 것도 탈중국 움직임을 부추기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에서는 중국과 맞설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제조업 수출이 2021년 기준으로 아직은 중국의 약 10분의 1에 불과하지만, 멕시코나 베트남을 제외하고는 다른 신흥국들을 모두 뛰어넘었다. 가전제품 수출의 경우 230억 달러 규모로, 2018년 이후 3배로 급증하는 눈부신 성과를 냈다.

특히 애플은 지난 15년간 중국 내 생산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했으나 2017년 이후 저가 아이폰 모델부터 시작해 최근에는 최신 기종인 아이폰14까지 생산한다. JP모건은 2015년까지 모든 아이폰 생산의 25%가 인도에서 생산될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인도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도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연평균 420억 달러에 이르는 등 최근 10년 새 두 배가 됐다.

그러나 전체 경제에서 제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에서 투자하거나 제조업을 하는데 장애물도 여전하다는 지적이 있다고 WSJ은 전했다. 노동력이 부족하거나 숙련도가 낮은 데다 기간시설은 개발이 더디고 규제를 포함한 사업환경도 부담이 되고 있다. 용지 매입이나 공장 건설과 관련해 미진한 인허가 문제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달리 관세를 높여 수입품 대신 자국산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풍력터빈 제조업체로 2021년 스리페룸부두르에 2개 공장을 새로 지은 덴마크 베스타스(Vestas)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우리는 중국 내 한 바구니에 우리의 모든 달걀을 담길 원치 않는다"라고 말했다. 강현철기자 hckang@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