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구 노리는 지방은행 [서정은 기자의 나·알·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은행들이 전국구 은행으로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방은행들이 수도권 지역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지역 영업기반이 갈수록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 데다 영업을 확대해야 하는 지방은행으로선 수도권 지역이 그나마 탈출구인 셈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점포를 계속 줄이는 가운데에서도 지방은행들을 보면 오히려 수도권에 점포를 열고 있다"며 "지역 기반만으로는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수도권에서 그만큼 영업이 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대출 의무비율도 완화
지방은행들이 전국구 은행으로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디지털 영업 강화와 더불어 지역 의존 영업만으론 성장에 한계를 느낀 탓이다. 오는 7월 1일부터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원화대출 의무비율도 줄어드는 만큼 지방은행의 탈지방화·영업기반 확대는 가속화할 전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은행은 올 하반기 수도권 지역 공략을 위해 영업센터를 신설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대형센터를 만들어 서울·경기 지역 등을 아우르겠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말 기준 경남은행의 수도권 지역 점포수는 총 8개로 전체의 5%다. 1년 사이 점포는 6개 줄었지만 수도권 지역에는 오히려 확장 기조로 방향을 틀었다.
대구은행은 올해 초 기업특화 영업조직인 ‘금융센터’를 신설하고 경기 성남시에 ‘성남금융센터’를 개점했다. 이 센터를 통해 우량자산 중심의 기업 고객을 유치하고 수도권 지역을 공략하겠다는 복안이다. 대구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서울·경인지역에 8개 점포를 운영해왔다. 1년 동안 점포는 154개에서 143개로 줄었지만, 수도권 지역에선 올 들어 점포를 늘리며 공격태세를 갖추는 분위기다.
대구은행은 전체 원화여신금액 중에서 수도권의 금액과 비중은 매년 늘고 있다. 2018년 2조1018억원에 그쳤던 수도권 원화여신은 2022년 3분기 들어 7조9851억원까지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원화여신 규모가 35조원에서 50조원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3분의 1 가량이 수도권 몫인 셈이다.
수도권 지역에서 ‘버티기 모드’에 들어간 곳도 있다. 전북은행·광주은행은 현재 11곳·15곳의 점포를 운영 중이다. 두 회사 관계자들은 “일단 자리잡은 곳에서 영업을 잘 해가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지방은행들이 수도권 지역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지역 영업기반이 갈수록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내총생산(GRDP)을 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GRDP는 2010년 49.4%에서 2020년 52.5%로 상승했다. 금융·보험업 부문 GRDP 점유율은 67.7%에 이르는 등 수도권 집중도가 커지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 데다 영업을 확대해야 하는 지방은행으로선 수도권 지역이 그나마 탈출구인 셈이다. 최근 지방은행의 발목을 잡던 대출 규제가 완화하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한국은행은 7월 1일부터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원화대출 의무비율을 50%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현재는 시중은행 45%, 지방은행 60%다.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의 은행 이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이같은 규정을 뒀으나, 최근엔 이런 규제가 지방은행의 역차별 요인으로 꼽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점포를 계속 줄이는 가운데에서도 지방은행들을 보면 오히려 수도권에 점포를 열고 있다”며 “지역 기반만으로는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수도권에서 그만큼 영업이 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서정은 기자
luck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뚝섬 130억 펜트하우스 매수자는 배우 전지현
- “아이패드 사지, 누가 삼성 사?” 조롱 받던 삼성 결국 이런일이
- DJ DOC 정재용, 19세 연하 이선아와 이혼 이유…"우울증·마마보이"
- 백지연 전 앵커, 현대家와 사돈 된다…내달 결혼식
- 가수 임영웅, 음원+유튜브 수익 매달 40억?
- “10억하던 마포 32평 전세가 4억이라고?” 폭락 전세의 진실 [부동산360]
- “지금 창정이가 그 길을 걷고 있거든”…‘주가폭락’ 연루 임창정, 이상민은 알고 있었다?
- “이러다 액정 무사할까” 얇아도 너무 얇은 아이폰 신작 두께는?
- “월 40만원은 기본이다” 게임에 빠진 40대 ‘역대급’ 돈 썼다
- "XX 컴백하지 말까" 유튜브서 욕설한 아이돌 논란…"부적절 언행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