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이 옥신각신하니 반도체 혜택은 대만·베트남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중 통상 갈등으로 미국 반도체 수입 시장에서 대만과 베트남이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9일 공개한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미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점유율이 급감했다.
전경련 측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 품목인 컴퓨터 등의 부품 분야에서 대만과 베트남이 중국의 자리를 대체했다고 해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만, 점유율 4위→1위
미중 통상 갈등으로 미국 반도체 수입 시장에서 대만과 베트남이 반사 이익을 누린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9일 공개한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재편'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미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점유율이 급감했다. 순위도 1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미국은 2018년부터 국가안보 및 자국 공급망 강화를 이유로 대중 수입 관세 부과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중국의 빈자리를 채운 국가는 대만이다. 이 기간 대만은 점유율이 9.5%포인트 상승하며 2022년 19.2%를 차지했다. 점유율 순위는 기존 4위에서 1위에 올랐다. 베트남도 수혜를 누렸다. 2018년 점유율 8위(2.5%)에서 2022년 5위(9.8%)까지 상승했다. 2위 자리는 말레이시아(22.8%→18.5%)가 유지했다.
한국 1.8%p 상승뿐, 3위 유지
반면 한국은 2018년과 2022년 모두 3위로 변동이 없었다. 점유율만 1.8%포인트 올라 12.6%를 기록했다. 2018년까지만 해도 대만보다 우위에 있었지만 4년 뒤에 6.6% 격차가 벌어지며 자리 변동이 생긴 것이다.
전경련 측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 품목인 컴퓨터 등의 부품 분야에서 대만과 베트남이 중국의 자리를 대체했다고 해석했다.
실제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한 반도체 관련 수입액은 4년 새 96억7,000만 달러 감소한 반면 대만과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액은 75억6,000만 달러, 35억1,000만 달러 각각 증가했다. 그 결과 해당 분야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15%포인트 줄었고, 대만과 베트남은 각각 6.8%포인트, 3.5%포인트 상승했다.
또 두 국가는 미국 내에서 급속도로 성장하는 품목인 기타 전자 집적회로에 집중적으로 입지를 강화해 점유율 확대를 이뤄냈다. 대만의 경우 이 분야에서 2배(18억4,000만 달러→40억3,000만 달러)가 넘는 성장을 꾀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지지율 34.7%... 국민 원하는 정책 '미스매치' 해소 없이는 반전 어렵다
- '0.2%'의 확률… FIU가 '김남국 거래'를 검찰에 통지한 이유
- 정몽원 HL그룹 회장, 백지연 전 앵커와 사돈 맺는다
- "체감온도 50도니까 외출 금지"...'괴물 폭염'에 실신한 아시아
- "베트남인들은 한국서 일하고 싶다" 10년 만에 '한국어 시험' 최다 응시
- 여학생 4명 하의 벗고 운동하게 한 뒤 촬영까지...30대 태권도 관장 징역 6년
- 산 정상서 '인생샷' 남기려다 미끌… 봄철 산악사고 주의보
- 대통령실 출신 변호사, 대낮에 접촉사고 후 도주
- "미국을 하얗게"에 당한 한국계 부부, '이민가족의 꿈과 희망'으로 불렸다
- 한화 셋째 아들은 왜 홍콩으로 햄버거 유학 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