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웨이브·왓챠 토종 OTT, 투자 늘렸지만 결과는 역대 최대 적자

양진원 기자 2023. 5. 10. 06: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위기의 OTT]②불법 스트리밍 '누누티비'까지 기승… 넷플릭스와 격차 확대

[편집자주]티빙, 웨이브, 왓챠 등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위기에 봉착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OTT 사업자들과 경쟁하기 위해 몇 년 동안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드는 데 힘을 쏟았지만 성과를 내지 못한 탓이다. 늘어나는 제작비에 비해 구독자 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이후 좀처럼 반등할 기미가 없다. 토종 OTT 기업들은 많은 콘텐츠를 만들기보다 특색 있는 드라마나 영화, 예능 제작에 집중해 비용 효율화를 꾀한다. 정부 지원도 요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콘텐츠 강국의 꿈을 이루려면 국내 OTT 사업자들을 외면해선 안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대규모 영업적자를 기록한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의 고심이 깊다. /사진=각 사
기사 게재 순서
① 토종 OTT, 투자 전략 재검토… 출구 고심
② 밑빠진 독에 물 붓기… OTT, 영업적자 역대 최대
③ 고사 직전 OTT, 정부 지원 '절실'
'밑빠진 독에 물 붓기'다.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이 콘텐츠 투자를 늘려도 구독자 수는 오히려 줄었다. 티빙, 웨이브, 왓챠, 쿠팡플레이 등 OTT 업체들이 지난해 막대한 적자를 기록한 배경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으로 콘텐츠 수요마저 줄어 국내 OTT 기업들의 탈출구는 보이지 않는다. 누누티비 같은 불법 사이트까지 기승을 부리며 속을 썩인다. 해외 OTT 넷플릭스와의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


콘텐츠 투자 부담에 적자 규모 확대


국내 OTT 3사 영업손실 규모. /그래픽=이강준 기자
국내 대표 OTT 웨이브는 지난해 영업손실 1213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 169억원, 2021년 558억원에 이어 지속해서 적자 규모가 커졌다. 티빙도 마찬가지다. 2020년 영업적자 61억원, 2021년 762억원을 내더니 지난해엔 1191억원으로 영업손실 규모가 1000억원을 넘었다. 왓챠 영업적자는 2020년 155억원, 2021년 248억원을 기록한데 이어 2022년엔 555억원에 이르렀다. 전년보다 55% 늘었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비가 늘어난 탓이다. 티빙의 콘텐츠 원가는 2021년 707억원에서 지난해 1167억원으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웨이브는 1452억원에서 2111억원으로 확대됐다.

왓챠는 지난해 매출원가 848억원을 기록, 전년(564억원)보다 약 300억원 증가했다. 신한회계법인은 왓챠에 대한 감사 의견으로 "2022년 말 현재 누적 결손금은 2388억원이고 계속기업(영업을 계속할 것이라는 전제 조건)으로서의 존속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했다.

국내 OTT 업계 관계자는 "매년 콘텐츠 제작 투자를 늘렸지만 가입자들이 유입되지 않아 적자 폭이 확대됐다"며 "코로나19 완화로 외부활동이 늘면서 콘텐츠 수요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내 OTT는 콘텐츠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사·가전·인터넷TV(IPTV)·모빌리티 등 제휴 채널 확대, 광고 결합 상품 개발, 글로벌 사업 확장 등에서 승부수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무단 도용까지 '이중고'… '흑자' 넷플릭스는 대대적인 투자 확대


윤석열 대통령(왼쪽)이 지난 4월24일(현지시각) 워싱턴DC 블레어하우스에서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누누티비 같은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까지 등장해 국내 OTT업체들이 속앓이를 한다. 누누티비는 OTT가 만든 드라마 또는 영화를 무단 도용해 제공했는데 동영상 총 조회수는 지난 2월 기준 약 15억회였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국내 OTT를 넘는 1000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영상저작권보호협의체는 누누티비로 인한 피해액이 4조9000억원을 상회한다고 본다. 불법 스트리밍 논란과 도박 광고 수익으로 빈축을 샀던 누누티비는 정부와 경찰의 강력한 압박에 지난 4월14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하지만 제2의 누누티비 등장 가능성이 커 OTT 업계 불안감은 여전하다.

넷플릭스와는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넷플릭스오서비시스코리아(넷플릭스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7732억원, 영업이익 142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OTT사업자 가운데 유일한 '흑자'다. 토종 OTT기업들이 킬러 콘텐츠를 찾는 데 헤매는 사이 '더 글로리'나 '피지컬:100', '길복순' 등 히트작을 잇따라 내놔 경영실적을 견인했다.

웨이브, 티빙 등과 달리 넷플릭스는 공격적인 투자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월24일(현지시각)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 "향후 4년 동안 한국 드라마·영화·리얼리티쇼 등 K 콘텐츠에 25억달러(약 3조3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했다.

25억달러는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2016년부터 작년까지 쏟아부은 금액의 2배에 달한다. 서랜도스 CEO는 "이렇게 결정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 창작 업계에 대한 믿음 때문"이라며 "한국이 멋진 이야기를 계속 들려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양진원 기자 newsmans1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