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투자도 미국 쏠림…‘중국 대체 시장’ 큰 숙제 안아

박상영 기자 2023. 5. 9. 20: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이젠 옛말…공급망 빠르게 재편
대중 수출 부진에 무역수지 빨간불…인도·아세안 등 대안

윤석열 정부 1년은 경제 분야도 외교·안보와 마찬가지로 중국과 멀어지며 미국과의 협력을 전면에 내세우는 기조가 이어졌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첨단산업 포럼 축사에서 “이번 방미를 계기로 양국이 명실상부한 첨단 기술 동맹임을 재확인했다”며 “양국은 핵심 가치를 공유하고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연결돼 ‘프렌드 쇼어링’(우방국 간 공급망)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고 평가했다.

실제 한국 기업들은 앞다퉈 미국에 투자하며 공급망을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70억달러(약 22조5000억원)를 투입해 미 텍사스주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고,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제조시설 등에 150억달러(약 19조9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삼성SDI와 SK온, LG에너지솔루션도 각각 수십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 같은 기업들의 대규모 미국 투자 이면에는 미국이 자국 제조업 부활을 위해 추진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 등이 있다. 미국은 막대한 규모의 보조금을 통해 주요 생산기지를 자국으로 유치해서 일자리를 늘리는 동시에 중국을 견제하고 있다. 한국도 여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면서 미국과의 경제 협력은 더욱 긴밀해졌다.

대미 수출도 빠르게 늘고 있다. 1년 전과 비교해 지난해 14.5% 증가한 대미 수출은 올해에도 4월까지 360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이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46억6500만달러)을 제치고 2위 시장으로 발돋움했다.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을 지켜온 중국과의 격차도 19년 만에 가장 많이 좁혀졌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미국이 중국을 제치고 2003년 이후 처음으로 최대 수출국으로 바뀔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그동안 한국 수출 성장세를 이끌었던 대중 수출은 지지부진하다. 지난해 대중 수출액은 1560억달러로 전년(1630억달러)에 비해 감소했다. 이에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의 점유율도 2001년 이후 최저치인 7%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중 수출이 축소된 것을 넘어 교역에서도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2022년만 하더라도 243억달러에 달했던 대중 무역수지 흑자 폭은 지난해 12억달러로 급감했다. 무역수지 흑자에 가장 크게 기여해온 중국이 이제는 무역적자를 부추기는 국가로 바뀌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기술 수준이 높았던 산업군의 무역수지가 2018년 384억달러에서 2022년 129억달러로 줄어든 점이 눈에 띈다. 대중 수출 부진이 길어지면서 중국 수출 의존도가 각각 40%, 38%에 달하는 반도체와 화학업종 기업의 피해도 커졌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95.1%, 58.1% 줄어들었고 지난해부터 부진을 겪었던 LG화학 등 화학기업도 여전히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민간 경제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경제도 효율보다 안보를 중시하면서 중국과의 무역 관계도 느슨해지고 있다”며 “인도나 아세안 시장처럼 중국을 대체할 시장을 발굴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