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 수 1위’ 한식음식점 지고…온라인 플랫폼·커피 사업자 늘었네

2023. 5. 9. 19: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간 카페를 비롯해 피부관리·애견숍 등도 급증세를 나타낸 반면 간이주점과 호프집, 예식장, PC방 등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를 비롯한 커피음료점이 9만개를 웃돌면서 편의점(5만1천564개)의 거의 갑절에 육박했지만, 간이주점과 호프집은 나란히 감소율 1~2위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 한 대형 카페 매장에서 직원이 손님들에게 매장용 컵을 제공하고 있다. 김빛나 기자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최근 5년간 카페를 비롯해 피부관리·애견숍 등도 급증세를 나타낸 반면 간이주점과 호프집, 예식장, PC방 등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최근 5년간 100대 생활밀접 업종 사업자 데이터'를 9일 공개했다.

작년말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수는 292만3천명으로, 2018년말보다 63만9천명(28.0%) 증가했다. 100대 업종별로는 2020년까지 한식전문점의 점포가 가장 많았지만, 2021년부터 통신판매업이 1위로 올라섰다. 코로나19 사태 전후로 창업시장 재편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쿠팡,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업을 영위하는 업체들을 아우르는 통신판매업체는 2018년 말 21만8천616개에서 작년 말 54만3천88개로 148.4% 증가했다.

이어 펜션·게스트하우스 115.2%(1만1천135개→2만3천957개), 커피음료점 80.0%(5만1천696개→9만3천69개), 기술·직업훈련학원 78.1%(1만2천187개→2만1천702개), 피부관리업 70.7%(3만2천736개→5만5천878개), 실내 스크린골프점 70.1%(4천538개→7천720개)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감소한 업종 중에서는 간이주점이 1만5천766개에서 1만441개로 33.8% 줄어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감소율은 호프집 25.7%(3만4천883개→2만5천930개), 구내식당 22.9%(2만3천342개→1만7천989개), 예식장 21.1%(951개→750개), PC방 18.9%(1만462개→8천485개) 등 순이었다.

여관·모텔도 2만1천341개에서 1만8천818개로 11.8% 감소해 펜션·게스트하우스 증가세와 대비를 이뤘다. 온라인 쇼핑이 폭증한 만큼, 오프라인 매장은 줄었다. 옷 가게는 1.2% 늘어나는 데 그쳤고 신발가게는 6천810개에서 6천140개로 9.8% 감소했다.

병·의원 중에서는 신경정신과(29.0%), 피부·비뇨기과(17.9%), 일반외과(15.2%)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이른바 '코로나 블루'로 불리는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흐름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음주를 동반한 회식보다 커피를 마시는 가벼운 자리를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드러났다.

카페를 비롯한 커피음료점이 9만개를 웃돌면서 편의점(5만1천564개)의 거의 갑절에 육박했지만, 간이주점과 호프집은 나란히 감소율 1~2위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 당시 영업시간 제한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워라벨'을 중시하는 분위기와 맞물려 피부관리업뿐만 아니라 헬스클럽(66.3%), 스포츠시설운영업(56.7%)도 많이 늘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는 흐름 속에서 애완용품점(46.3%), 동물병원(12.2%)도 꾸준히 늘었다. 주 52시간제 및 중대재해법 시행과 맞물려 공인노무사가 55.5%로, 전문직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binn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