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NYT에 뉴스사용료 약 1320억원 지급
NYT 年 400억원 추가수익 전망
세계 최대 검색 서비스 구글이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3년간 뉴스 사용료로 1억달러(약 1320억원)를 지불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빅테크(거대 정보기술) 기업들이 그동안 언론사에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뉴스를 이용해 수익을 낸다는 비판이 제기돼온 가운데 뉴스 유료화에 적극 동참해온 구글이 미국 신문업계 1위사와 통 큰 계약을 맺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NYT는 구글의 뉴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앱)인 ‘쇼케이스’에도 기사를 제공하게 된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쇼케이스는 구글이 뉴스 서비스 강화를 위해 2020년 10월 독일과 브라질에서 출시한 앱으로 이후 세계 각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왔다. 쇼케이스를 출시하며 구글은 독일·브라질·호주·영국·캐나다 등 각국 언론사 200여개에 뉴스 사용료로 3년간 10억달러를 지불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과 미국에서는 아직 쇼케이스 앱이 출시되지 않았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현재 구글과 쇼케이스용 기사 제공 계약을 맺은 언론사는 500개 이상에 달한다.
이번 계약이 더 주목받는 이유는 막대한 사용료 규모 때문이다. 구글은 2021년 프랑스 종합신문사연합(APIG)에 소속된 121개 언론사와 3년간 7600만달러의 뉴스 사용료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NYT와의 단일 계약에서는 그보다 300억원가량 많은 돈을 지불했다.
언론학자들은 이번 계약이 단순한 뉴스 사용료 차원이 아닌 NYT와의 파트너십 계약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NYT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유료 구독 모델을 가진 언론사이자 인공지능(AI) 활용 모델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언론사”라며 “이러한 유통망과 마케팅 전략 등을 함께 활용하는 포괄적인 업무제휴를 위해 그만한 액수를 지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NYT는 AI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읽는 구독자들의 성향·호감도 등을 분석한 뒤 이러한 자료를 광고주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글은 콘텐츠 외에 이 데이터에도 높은 가치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정보기술(IT) 업계 선도 기업 중 하나인 구글의 이번 거대 계약을 시작으로 뉴스 판매가 확산할지 여부도 주목된다. 트위터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도 지난달 29일 자신의 계정에 “5월부터 미디어 기업들이 트위터에서 기사 한 건에 대한 클릭마다 요금을 청구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위터에서 기사 제목 등을 발견한 사용자가 기사 전문을 읽기 위해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기사에 대해 소액의 구독료를 청구하는 결제 창을 띄울 수 있게 해주겠다는 것이다. 구독자는 언론사 웹 사이트에서 월 단위로 구독료를 결제할 필요가 없고 언론사는 기사 건건이 구독료를 받을 수 있어 새로운 뉴스 소비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받았다.
이미 일부 국가에서는 공짜로 뉴스를 활용해 플랫폼 사용자를 늘리고 이를 통해 광고 이익을 내는 빅테크 기업을 향한 사용료 강제 움직임이 진행 중이다. 호주는 2021년 2월 세계 최초로 빅테크 기업에 뉴스 사용료를 강제하는 법을 통과시켰고, 캐나다 상원에도 같은 취지의 법이 계류 중이다. 강경한 정부 방침에 페이스북과 구글 모두 백기를 들고 호주 언론사와 뉴스 사용료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이 생성형 AI 개발과 관련한 언론사의 빅테크 기업을 향한 뉴스 사용료 지불 요구에 힘을 더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챗GPT 등 AI가 보유한 데이터의 상당 부분이 뉴스에 기반하고, AI를 학습·훈련하는 데에도 신문기사가 활용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라”는 정부와 뉴스 생산자의 압박이 커지는 중이다. WSJ 역시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저작권 관련 소송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제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한국 언론사와 빅테크 기업의 사용료 계약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특히 한국의 경우 구글의 뉴스 점유율이 미비한 수준인 대신 네이버와 카카오가 뉴스 시장을 사실상 독과점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계약이 업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 가치 평가 체계가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점은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부분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언론학 교수는 “국내 포털사이트들이 뉴스 사업을 통해 거둬들이는 수익에 비해 언론사에 지급하는 사용료가 저평가돼 있다는 지적은 꾸준하다”며 “전재료 등의 산정 기준도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 황 교수 역시 “한국과 같은 전재료 시장을 가진 해외 사례는 찾아보기 드물다”며 “한국 언론의 경우 뉴스의 공급이 초과잉 상태에 있고, 반나절만 지나면 뉴스의 상품 가치가 떨어져 버리는 속성이 있어 뉴스 사용료에 대한 제대로 된 산정 기준을 마련하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개월 시한부' 암투병 고백한 오은영의 대장암...원인과 예방법은? [건강+]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속도위반 1만9651번+신호위반 1236번… ‘과태료 전국 1위’는 얼마 낼까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발열·오한·근육통' 감기 아니었네… 일주일만에 459명 당한 '이 병' 확산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