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1년 제약산업] 바이오 산업 육성, 의지 명확…세부정책 보완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9일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동안 산업을 미래 동력으로 설정해 지원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확인했다면서도 재임 기간 중 현장에서 체감할 만한 성과를 내려면 구체적인 세부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앞으로 윤석열 정부가 재임 기간 중 어느 정도 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으로 뒷받침할만 한 세부 방안들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부내용 마련은 아직…정책 체감 안 돼”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9일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동안 산업을 미래 동력으로 설정해 지원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확인했다면서도 재임 기간 중 현장에서 체감할 만한 성과를 내려면 구체적인 세부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관련 부처에 바이오헬스와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5년 내 ‘블록버스터 신약’ 2종을 개발하고, 의료기기 수출 분야 세계 5위를 기록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아직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블록버스터 신약은 없다. 의료기기 수출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해 기준 82억달러 규모인 수출액을 160억달러까지 끌어올리는 목표를 내놨다.
블록버스터 신약은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벌어들이는 약을 의미한다. 이는 국내 내로라하는 제약사 연간 기준 매출과 맞먹는다. 지난해 기준 전통 제약사로 불리는 기업 중 매출이 가장 많은 곳은 유한양행으로 1조7758억원이다. 유한양행을 포함해 연간 기준 매출 1조원을 넘기는 제약사는 GC녹십자, 종근당, 광동제약, 한미약품, 대웅제약까지 6곳이다.
원희목 서울대 특임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제약·바이오 산업을 미래 동력산업으로 설정해 변화를 추구한 것은 잘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원 교수는 지난 2월까지 제21대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을 역임했다. 지난 2017년 임기를 시작해 협회 정관상 최대인 5년 임기를 모두 채우며 제약·바이오 정책 개선을 위해 정부와 소통해 왔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세계 시장 트렌드에 맞춰 바이오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산업 후발주자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산업을 끌고 가려는 게 의지가 중요한데 어젠다를 만드는 것은 잘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12년부터 바이오협회 사업 총괄을 도맡고 있다.
유철욱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장은 “윤석열 정부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사업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하며 육성 의지를 드러낸 데 이어 후속 조치로 바이오헬스 규제를 발표한 것은 시대 흐름에 맞춰 잘한 것 같다”며 “최근 약 10조원 예산을 투입하는 의료기기 종합발전계획도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앞으로 윤석열 정부가 재임 기간 중 어느 정도 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으로 뒷받침할만 한 세부 방안들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까지 산업 현장에서 피부로 와닿을 만한 정책이 아직은 없다는 게 공통 의견이다.
원 교수는 “실질적으로 제약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것들은 아직 없다”며 “과거부터 (제약·바이오산업을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타워 구성을 제안해 왔지만, 수년째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성화할 컨트롤타워타워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 부회장은 “과거만 해도 비전만 가지고 산업계를 끌고 갈 수 있었지만, 이제는 구체적인 전략이 나와줘야 하는 시점”이라며 “일례로 규제를 개선한다고 했지만, 산업계가 피부로 느끼는 건 많지 않다. 그런 부문을 남은 기간 보완한다면 바이오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 회장은 “국내 의료기기 업체가 개발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임상 근거 마련과 해외 인허가 규제, 인증, 마케팅까지 다양한 부문에서 지출이 불가피한데 직접적인 지원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