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의존 ‘찰광어’ 터봇, 대량 양식 가능해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찰광어(찰진광어)로 불리는 '터봇'의 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길이 열렸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도내 터봇의 완전 양식을 위해 수정란을 시험 보급한 결과 민간 배양장에서 터봇 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고형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제주 양식어류의 다변화를 위해 터봇 수정란 보급량을 확대하고, 종자 생산 기술을 지원해 종자 수입 의존도를 낮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찰광어(찰진광어)로 불리는 ‘터봇’의 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길이 열렸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도내 터봇의 완전 양식을 위해 수정란을 시험 보급한 결과 민간 배양장에서 터봇 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도 해양수산연구원이 올해 116만개의 인공수정란을 4곳의 민간배양장에 보급했는데, 1곳에서 길이 5~8㎝의 종자 5만여마리가 생산된 것이다.
터봇은 국내의 일반 광어보다 육질이 더 찰지고 단단해 ‘찰광어’로 불린다. 터봇 가격은 1㎏에 2만6000원으로, 광어(1㎏당 1만원)보다 비싼 값에 거래가 이뤄진다.
터봇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주도에서만 생산되지만 어미 관리가 어렵고 수정란을 생산하지 못해 전량 중국에서 종자를 수입해 양식해왔다. 냉수성 어종인 터봇은 수온이 20도 이상 올라가면 면역력이 떨어져 질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연중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는 해수를 사용할 수 있는 제주에서만 양식이 이뤄지고 있다.
제주도내에서는 양식어가 14곳이 터봇을 양식하고 있다. 국내에서 주로 횟감으로 소비되는 터봇은 미국과 캐나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인기가 높아 2020년 14t에서 2021년 45t, 지난해 63t으로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이번 종자 생산이 제주지역 양식어가의 어종 다양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내 어류 양식산업은 양식어가 354곳 가운데 90%에 이르는 320곳이 광어 양식에 편중돼 소비시장 여건 등 양식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새로운 양식대상종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고형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제주 양식어류의 다변화를 위해 터봇 수정란 보급량을 확대하고, 종자 생산 기술을 지원해 종자 수입 의존도를 낮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김건희 ‘Yuji’ 논문 실은 학술지 A등급…KCI 자격 ‘유지’
- 일 “한국 시찰단, 안전성 확인 못 해”…대통령실 주장과 배치
- 땅에 안 닿는 비, 오다가 그대로 ‘정지’…봄의 이상기후
- [단독] 광개토왕비에 석회 덮었다…일본 조사기록 공개
- [포토] ‘좋은 혈통, 예쁜 개?’ “미안하개, 개피곤…”
- “6년간 민방위 훈련 안 했다”는 윤 대통령 말 따져보니
- 연봉 2800, 적금 두 달도 버겁더라…목돈은 중산층 청년 몫
- 총기 난사에 생존한 한국계 6살…“숨진 엄마가 껴안고 있었다”
- 나비에 사우론, 나방엔 간달프…‘반지의 제왕’ 이름 붙인 이유
- 김용민 “서민도 부유해질 수 있어야”…김남국 ‘코인 투기’ 두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