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제조업 인력 향후 10년간 24만명↓… 외국인 고용 촉진해야”
박민우기자 2023. 5. 9. 1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고용촉진 정책이 없다면 향후 10년간 제조업 고용인원이 24만 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저숙련 제조업 고용인원은 2022년 196만 명에서 2032년 176만 명으로 20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고용촉진 정책이 없다면 향후 10년간 제조업 고용인원이 24만 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제조업 인력을 지금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선 외국인 인력 고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저숙련 제조업 고용인원은 2022년 196만 명에서 2032년 176만 명으로 20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고숙련 제조업도 252만 명에서 248만 명으로 4만 명 줄어든다. 향후 10년간 제조업 인력이 24만 명 감소하는 셈이다. 정부가 고용촉진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산업별 취업자 구성과 연령별 인구규모 변동을 감안해 추정한 기본 시나리오다.
보고서는 제조업 고용인력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2019년 기준 3.8%에 불과한 국내 외국인 비율이 2032년까지 주요 7개국(G7) 국가 평균인 7.8%로 증가할 경우 모든 산업군에서 일자리가 고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유입되는 외국인의 숙련도가 내국인과 동일한 수준이라는 가정에 따른 분석이다.이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2032년 저숙련 제조업은 187만 명, 고숙련 제조업은 263만 명으로 지난해 전체 제조업 인력(448만 명)보다 2만 명 더 많은 제조업 인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마찬가지로 2019년 기준 65.9%인 경력단절기(30~44세) 여성 고용률을 G7 국가 수준인 70.2%로 높일 경우엔 고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기본 추정치 대비 15만 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50∼64세) 고용률을 2019년 기준 67%에서 일본 수준(76.8%)으로 높이면 저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70만 명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저숙련 제조업 고용인원은 2022년 196만 명에서 2032년 176만 명으로 20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고숙련 제조업도 252만 명에서 248만 명으로 4만 명 줄어든다. 향후 10년간 제조업 인력이 24만 명 감소하는 셈이다. 정부가 고용촉진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산업별 취업자 구성과 연령별 인구규모 변동을 감안해 추정한 기본 시나리오다.
보고서는 제조업 고용인력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2019년 기준 3.8%에 불과한 국내 외국인 비율이 2032년까지 주요 7개국(G7) 국가 평균인 7.8%로 증가할 경우 모든 산업군에서 일자리가 고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유입되는 외국인의 숙련도가 내국인과 동일한 수준이라는 가정에 따른 분석이다.이 같은 시나리오에서는 2032년 저숙련 제조업은 187만 명, 고숙련 제조업은 263만 명으로 지난해 전체 제조업 인력(448만 명)보다 2만 명 더 많은 제조업 인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마찬가지로 2019년 기준 65.9%인 경력단절기(30~44세) 여성 고용률을 G7 국가 수준인 70.2%로 높일 경우엔 고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기본 추정치 대비 15만 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50∼64세) 고용률을 2019년 기준 67%에서 일본 수준(76.8%)으로 높이면 저숙련 서비스업 인력이 70만 명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목욕중 핸드폰 쓰다가 그만…16살 욕조서 숨진 채 발견
- “소아과, 왜 없어지냐면…” 현직 의사가 밝힌 ‘폐과’ 이유 셋
- 유동규 “2014년 이후 이재명에게 최재경 소개했다”
-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노키즈존 이어 노시니어존 등장 [e글e글]
- 이상민 탄핵심판 첫 변론…“의무 방임” VS “예측 못한 참사”
- 압수수색하니 50억 현금뭉치가…2조원대 불법도박 조직 검거
- “시민 13명 대피시켜”…美 총기난사 ‘영웅’, 시신으로 발견
- “사람 같다” 열차 승객이 신고…야영하던 30대 숨진채 발견
- 검찰총장, ‘타이이스타젯 사건’ 文조사방식 묻자 “신중 기할 것”
- ‘총격 희생’ 美 한인 가족 후원금, 100만 달러 넘어…2만2900명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