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숙련 제조업' 일자리 사라진다…한은 "향후 10년간 10% 넘게 급감"
고령자 고용 촉진 때 그나마 효과…여성은 서비스업↑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앞으로 저숙련 제조업 일자리가 설 곳은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이대로면 향후 10년간 식료품·인쇄·의복 등 저숙련 제조업 고용이 10% 넘게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다.
정부가 여성, 고령자, 외국인 고용을 장려하는 경우에도 주로 서비스업과 고숙련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숙련 제조업은 정부의 정책 효과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된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9일 공개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고용인력 변화와 정책대안별 효과 추정 – 여성, 고령자, 외국인 고용확대를 중심으로' 제하의 BOK경제연구를 보면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담겼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소속 김혜진·정종우 부연구위원은 향후 10년간 △여성 △고령자 △외국인 고용촉진 정책이 산업별 취업자 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진은 먼저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2013~2022년)를 이용해 산업별 근로자 잔존 비율(특정산업에 계속 고용될 확률)을 계산한 이후 장래 인구추계 정보를 반영해 향후 10년간의 산업별 종사자 수를 추정했다.
산업 구분은 종사자들의 학력을 기준으로 △고숙련 제조업(자동차·전자기기·화학) △저숙련 제조업(식료품·의복·고무·플라스틱) △고숙련 서비스업(금융·보건·교육·IT) △저숙련 서비스업(도소매·음식·숙박) 등 4가지로 했다.
그 결과, 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최근 노동시장 추이만 반영한다면 10년 동안 제조업 고용은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업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저숙련 제조업(-10.2%)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196만명 수준의 취업자가 2032년에는 176만명으로 20만명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고숙련 제조업(-1.6%) 감소세는 비교적 작았다. 작년 252만명에서 10년 만에 248만명으로 4만명 감소에 그쳤다.
서비스업에서는 고숙련 서비스업(4.6%)의 증가세가 저숙련 서비스업(3.4%)을 웃돌았다.
작년 738만명 수준이었던 고숙련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2032년 772만명으로 34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저숙련 서비스업에서는 1177만명이 1217만명으로 늘어 절대적인 증가 폭이 컸지만(40만명) 전체 일자리 수 대비 증가율은 낮게 조사됐다.
이후 연구진은 정부가 여성, 고령자, 외국인에 대한 고용촉진정책에 각각 나선다고 가정하고 향후 10년간의 일자리 동태를 살폈다.
그 결과 여성 고용장려로 인해 30~44세 여성 고용률이 주요 7개국(G7) 평균 수준(2019년 기준 70.2%, 한국 65.9%)으로 높아진다면 '고숙련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증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여성의 경우 서비스업에서 고용 확대가 두드러졌다"면서 "특별히 고숙련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기존 추정치 대비 15만명 증가하는 점이 주목된다"고 강조했다.
고령자 장려는 여성과 사뭇 다른 결과가 나왔다. 만 50~64세 고령자 고용률이 일본 수준(2019년 76.8%, 한국 67.0%)까지 오를 경우 '저숙련 서비스업' 일자리가 주로 늘어날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보고서는 "고령자 고용률 개선 시 저숙련 서비스업에서 상당한 규모의 고용 증가 효과가 있을 걸로 예상한다"며 "2032년 저숙련 서비스업에서 고령자 고용은 기존 추정치 대비 69만명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서 여성 고용 확대가 서비스업 증가에 집중 기여했다면 고령 인력 활용은 상대적으로 제조업의 고용 확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도 지적했다. 물론 저숙련보다 고숙련 제조업에서 정책 효과는 더 뚜렷한 모습이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취업을 장려해 외국인 인구 비중이 G7 평균 수준(2019년 기준 7.8%, 한국은 3.8%)을 따라잡으면 고용 증대 효과는 다른 정책 대비 '고숙련 제조업'에서 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진은 향후 고용촉진정책으로 국내 유입될 외국인력들이 내국인과 같은 수준의 숙련도와 일자리 선호도를 지녔다는 전제를 뒀기에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이에 모든 산업군에서 일자리가 골고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향후 고용 감소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주요 정책의 적절한 혼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주요 성장 산업인 고숙련 서비스업의 고용은 여성 인력 활용을 적극 고려할 수 있고 대규모 고용 감소가 예상되는 기피·사양 산업은 고령자·외국인 인력 보완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13세와 2년 동거, 34회 성관계한 유명 유튜버…아내 폭행·신체 촬영 '입건'
- "남편이 몰래 호적 올린 혼외자, 아내 재산 상속 받을 수도" 가족들 발칵
- "성관계 안한지 몇년"…전현무, 결혼 관련 숏폼 알고리즘 들통
- 아내·두 아들 살해한 가장, 사형 구형하자 "다들 수고 많다" 검사 격려
- '주가조작 무혐의' 임창정…아내 서하얀 "믿어 의심치 않아"
- 산다라박, 글래머 비키니 자태…마닐라서 환한 미소 [N샷]
- "비싼 차 타면서 구질구질"…주차비 아끼려 '종이 번호판' 붙인 외제차
- 김영철, 민경훈♥신기은 PD 결혼식 현장 공개 "멋지다 오늘…축하"
- "버려달라는 건가" 손님이 건넨 휴지…"가격 올라도 괜찮아" 응원
- "불판 닦는 용 아니냐" 비계 오겹살 항의했다고 진상 취급…"사장, 당당하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