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통상갈등 속 대만 반도체 점유율 급성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8년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대만과 베트남 점유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등의 부품은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에 15.0%p 기여한 반면 대만, 베트남, 한국의 점유율 상승에는 각각 6.8%p, 3.5%p, 1.0%p 기여해, 동 품목이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대만과 베트남 점유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분의 1토막이 난 중국산 비중의 상당량을 두 국가가 차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한국의 점유율 상승은 상대적으로 미미해 수출 품목 다변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2018년∼2022년 사이 미국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18.5%포인트(p))이 크게 하락한 사이 대만과 베트남의 점유율은 각각 9.7%p과 베트남 7.3%p 상승을 기록했다. 한국(+1.8%p)의 점유율도 상승은 했지만 소폭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국제무역센터의 미국 반도체 수입 통계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를 기준으로 삼았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점유율 1위를 유지해 왔지만, 2018년 하락을 시작으로 지난해 4위까지 떨어졌다. 대만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로 늘어나며 4위에서 1위로 등극했다.
2017년과 2018년 메모리 호황의 수혜를 본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3위로 올라섰고 이후 중국의 입지 약화로 2022년 3위를 유지했다. 한·대만을 비교하면, 2018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을 1.3%p 상회했지만 최근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2022년 한국이 대만을 6.6%p 하회하며 양국 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등의 부품은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에 15.0%p 기여한 반면 대만, 베트남, 한국의 점유율 상승에는 각각 6.8%p, 3.5%p, 1.0%p 기여해, 동 품목이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련은 대만과 베트남이 고성장 품목 입지 강화를 통해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한 것으로 봤다. 기타 전자집적회로 품목 수입은 2018년~2022년 77% 늘었는데 이 중 對대만 수입액은 119% 증가했다. 같은 기간 LED 및 태양전지·태양광 모듈 등 품목 수입은 135% 늘었는고 對베트남 수입액은 874% 증가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정형 기자 jeni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알뜰폰 보조금 푸는 이통사… 최대 27만원 지원
- 코로나 하향 임박… 길 잃은 비대면진료
- 쇼호스트부터 패션모델까지…유통가, 가상인간 마케팅 ‘인기’
- ‘1분기 실적 부진’ 엔씨, 신작으로 돌파구 마련
- SK텔레콤 1분기 영업익 5000억 육박…“5G 끌고 신사업 밀고”
- 트럼프, 민사 패소…배심원단 “성추행 책임 인정… 66억원 배상해야”
- ‘대통령실 공천 개입 논란’ 태영호, 결국 최고위원 사퇴
- 푸틴, 러 전승절에 ‘전쟁’ 규정…특별군사작전 대신 이례적 표현
- '독도는 日영토' 퍼즐로 어린이 세뇌...서경덕 "침탈 야욕 노골화"
- 외교부 美 취업비자 확대 추진에 반도체 인재 유출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