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석] 지리산 천왕봉 '한국인의 기상', 원래는 '경남인의…'

서현우 2023. 5. 9. 07: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인에게 지리산 천왕봉(1,915m)은 각별하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천왕봉 표지석의 시초는 지리산 동부 루트 개척 학술조사 등반대의 활동이라고 한다.

1974년에는 '만고천왕봉萬古天王峯 천명유불명天鳴猶不鳴(하늘이 울어도 천왕봉은 울지 않는다)'이라는 남명 조식의 시구가 적힌 자그마한 40cm 높이의 정상석이 들어섰다.

남명 조식은 지리산 천왕봉에 대한 사랑이 유달리 각별했던 조선 중기 학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리산 정상석 스토리
'경남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라고 써있던 기존 정상석에서 '경남'을 누군가 훼손했고(왼쪽), 현재 '한국'으로바뀌었다(오른쪽).

한국인에게 지리산 천왕봉(1,915m)은 각별하다. 남한 내륙 최고봉이라는 지리적 위상이나 최초의 국립공원 지정 등 객관적 지표만으로는 이 각별함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를 가장 잘 드러내는 말은 천왕봉 정상석에 있다. '한국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라는 문구다. 천왕봉을 오르려는 이들이 무엇을 헤아려보려 하는지 이보다 더 잘 설명해 주는 글이 있을까.

그런데 이 문장이 새겨지기까지는 여러 우여곡절이 따랐다. 먼저 천왕봉 정상석의 역사를 더듬어보면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천왕봉 표지석의 시초는 지리산 동부 루트 개척 학술조사 등반대의 활동이라고 한다. 이들은 1964년 11월 27일부터 12월 5일까지 8일간 칠선계곡에서 천왕봉으로 오르는 등반로에 이정표와 안내판을 설치하고, 정상에 곡괭이로 땅을 파고 '천왕봉 1,915m'라 표시된 비목을 설치했다. 이 비목은 1971년까지 있었다고 한다.

1974년에는 '만고천왕봉萬古天王峯 천명유불명天鳴猶不鳴(하늘이 울어도 천왕봉은 울지 않는다)'이라는 남명 조식의 시구가 적힌 자그마한 40cm 높이의 정상석이 들어섰다. 진주 산악인들이 세웠다고 하며, 정상석 옆면에는 지리산의 또 다른 이름인 두류산과 방장산이 새겨져 있었다. 남명 조식은 지리산 천왕봉에 대한 사랑이 유달리 각별했던 조선 중기 학자다. 인생 후반부에 지리산 덕천동(현 산청군 덕산면)에 살았던 것도 천왕봉을 볼 수 있는 위치였기 때문이었으며, 생전에 12번이나 천왕봉에 올랐다고 전해진다.

지리산 천왕봉 정상석.

1982년 진주 산악인들은 검정색 오석에 '지리산 천왕봉'을 새긴 정상석을 제작해 세웠다. 그동안 있던 정상석이 산에 비해 작기도 했고, 주변에 낙서도 많은 탓에 힘을 모았다. 그러나 이 정상석은 그리 오래 서 있지 못했다. 같은 해 6월 2일 경남도에서 현재의 정상석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를 주도한 건 당시 이규효 경남지사와 5공화국 실세였던 권익현 국회의원. 헬기를 동원해 진주 남강의 강돌을 운반했다고 한다.

문제는 정상석 제막식 직후 발생했다. 정상석 설치를 주도한 경남도 측이 정상석 뒷면에 '경남인의 기상 여기서 발원되다'라고 적었기 때문이다. 물론 지리산 천왕봉 자체는 경남권에 속한 것이 맞지만, 지리산 전체는 경상도에서 전라도에 걸쳐 있기 때문에 이를 경남으로 한정한 것에 대해 불쾌해하는 여론이 높았다. 결국 얼마 가지 않아 누군가가 '경남慶南' 한자를 도려내버리는 사건까지 발생하고 만다. 이후 지리산은 경남인이 아니라 우리 민족 모두의 산이라는 여론이 더욱 확고해졌고,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기존의 '경남'이 있던 자리에 대신 '한국韓國'을 새겨 넣게 됐다고 한다.

이처럼 훼손한 부분에 글자를 다시 새겨 넣은 탓에 다소 어색하게 보이는 부분이 있었다. 이에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는 2000년 다시 또렷하게 새기는 작업을 했다. 이렇게 태어난 천왕봉 정상석이 현재 우리가 만나는 그 모습이다.

월간산 5월호 기사입니다.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