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석] 설악산 대청봉 정상석 글씨가 빨간색인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설악산 최고봉 대청봉(1,708m) 정상석은 특이하게도 글자색이 붉다.
최 계장은 "대청봉은 기상이 안 좋아서 자주 글자색이 희미해졌는데 그때마다 공단은 검은색, 빨간색을 번갈아가며 칠했었다"며 "검정색으로 칠할 경우 겨울철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정상석 재질과 글자가 잘 구분이 안 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주로 붉은색으로 더 작업을 한 것 같다. 2015년부터는 아예 내부 지침이 만들어져 붉은색으로 굳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악산 최고봉 대청봉(1,708m) 정상석은 특이하게도 글자색이 붉다. 이 강렬한 빨강은 대청봉까지 오르며 땀과 기운을 쏟아내 텅 비어버린 산꾼의 마음에 다시금 불을 지른다.
이 정상석을 세운 것은 대청산장지기였던 고故 이옥모씨. 대청산장은 정상에서 오색 쪽으로 100m쯤 아래 있었으며 군사용 벙커를 개조해 만든 건물이었다. 예약이란 개념도 없어 먼저 와서 눕는 사람이 임자였던 시절이었기에 산꾼끼리 옥신각신하곤 했는데 이를 정리하던 이가 이옥모씨였다고 한다. 대청산장은 1995년 중청대피소가 건립되자 곧 폐쇄됐고, 10년 뒤인 2006년 완전 철거됐다.
이옥모씨가 대청봉 정상석을 세운 시기는 1985년 봄으로 전해진다. 그는 산악인들의 도움을 받아 정상 주변부 자연석을 골라 밧줄로 묶어 일으켜 세웠고, 양양에 거주하던 석공을 사비로 불러 1박 2일 동안 작업한 끝에 지금의 모양을 갖췄다고 한다.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 최원남 계장에 따르면 대청봉 글씨가 붉은색인 이유는 시인성, 즉 눈에 잘 보여야 되기 때문일 것이라 한다. 최 계장은 "대청봉은 기상이 안 좋아서 자주 글자색이 희미해졌는데 그때마다 공단은 검은색, 빨간색을 번갈아가며 칠했었다"며 "검정색으로 칠할 경우 겨울철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정상석 재질과 글자가 잘 구분이 안 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주로 붉은색으로 더 작업을 한 것 같다. 2015년부터는 아예 내부 지침이 만들어져 붉은색으로 굳어졌다"고 설명했다.
지금은 이 정상석이 홀로 정상을 지키고 있지만, 그 기간은 생각보다 그리 길지 않다. 8년 전까지만 해도 두 개의 정상석이 더 있었다. '요산요수'와 '양양이라네' 정상석이다. 모두 2015년 국립공원공단의 정상석 정비 사업에 의해 철거됐다.
'양양이라네' 정상석은 1986년 당시 이종호 양양군수가 세웠다. 높이 1.5m 자연석에 '양양이라네!'란 글자와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 1번지'가 새겨져 있었다. 대청봉의 행정구역이 양양에 속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설치된 것이었는데 설치 전후로 대청봉의 주소를 놓고 속초, 인제 등 인접 시·군과 지속적으로 갈등을 빚은 바 있었다.
또 다른 요산요수樂山樂水 정상석은 지금의 대청봉 정상석보다 훨씬 먼저 설치됐었다. 1966년 10월 당시 이효상 국회의장 및 대구 산악연맹회장의 친필을 까만색 오석으로 된 석판에 새겼고, 에코클럽의 김진수, 오운소, 현정웅, 이원의씨가 용대리에서부터 직접 짊어지고 올라가 설치했다. 양양이라네 정상석과 마찬가지로 봉우리 명이나 높이 표기는 없었다.
이외에도 설치시기는 물론 철거시기도 모호한 정상석들이 1960~1980년대 사이에 더 있었다고 한다. 한국산서회 김진덕씨는 "적어도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까지는 손으로 들 수 있는 자연석에 대청봉이라 새기고 빨간 페인트로 칠한 표지석이 하나 더 있었다"며 "또한 요산요수 정상석이 세워질 때 '산은 우리를 부른다'로 시작되는 문구가 적힌 비가 세트로 같이 세워진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이 비가 언제 철거됐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정상석이 설치되기 전 대청봉의 모습은 어땠을까? 너덜 위에 듬성듬성 돌탑들이 들어선 모양을 상상해 보면 된다. 김 씨는 "1955년 한국산악회 홍종인의 등반기와 손경석의 등반기, 1957년 강원산악회의 이문주, 1959년 1월 동국대팀의 기록을 보면 일관되게 케른(돌탑) 앞에서 찍은 단체사진이 있다"고 전했다.
월간산 5월호 기사입니다.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