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무장관 회의도 가동 채비…통상 갈등 해소 물꼬 트이나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답방으로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가 재개되면서 통상 갈등을 중심으로 얼어붙었던 경제당국 간 소통 채널도 본격 재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통화스와프 같은 구체적인 현안은 다뤄지지 않더라도 통상 갈등 해소와 경제협력 확대,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물꼬가 트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일 양국 재무당국은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연내 일본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 일본 측에서는 차관급인 재무관이 6월 초 한국을 방문해 회의 안건 등을 사전 조율한다.
2006년 시작된 ‘한·일 재무장관회의’는 양국 재무당국 수장과 실무진이 참석해 경제협력 방안 등을 논의해온 공식 협력 채널이다. 하지만 2017년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설치,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급랭하면서 7년째 중단된 상태였다.
기획재정부가 부총리 부처로 경제 정책과 현안 전반을 다루는 것과 달리 일본의 재무성은 예·결산과 회계, 조세 등 재무부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재무장관회의에서 양측이 실무적으로 다룰 수 있는 안건은 제한적이다.
다만 재정당국 내부에서는 일본의 스즈키 슌이치 재무장관이 현역 정치인이고, 추경호 부총리가 한·일 양국 간 경제교류 회복과 확대를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재무장관회의가 양국 간 포괄적인 경제협력을 위한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추 부총리가 앞서 ADB 연차총회에서 스즈키 재무장관을 만나 경제산업성 소관인 ‘화이트리스트’의 조속한 복원을 당부한 것도 이 같은 차원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일본의 강점인 소재와 한국의 강점인 제조를 한데 묶어 향후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과 양자·우주·바이오 등 신산업 시장에서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등 경제 파트너로서의 지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게 우리 측 구상이다.
변동성 급증에 대응하는 안전판 격인 통화스와프 재체결 등은 이 같은 교류·협업 이후 필요시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2001년 7월 20억달러 규모로 시작된 한·일 통화스와프는 2011년 말 잔액이 700억달러까지 늘었다가 2012년 양국관계 악화로 계약 연장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규모가 줄어 2015년 최종 중단됐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린피스 전문가 “일본, 삼중수소 영향 부정확하게 소통…원전 오염수 안전성 부각 전략”
- 원폭 위령비, 일 피폭국 정체성 상징 장소···‘강제동원’ 덮고 평화 강조
- “인·태 발전 계기” 환영한 미국, “미 압력에 화해” 냉소한 중국
- 정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23~24일 일본에 파견”
- 한·미·일, 대북 정보공유 강화…‘촘촘한 군사협력’ 가속
- ‘독도 도발’ 입 닫고 간 기시다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