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 中 견제 위해 ‘워싱턴 컨센서스’도 바꾸는 바이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중국을 의식해 미국식 자유주의와 무역체제를 포괄하는 '워싱턴 컨센서스'를 수정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의 최근 대외정책을 분석하며 이같이 결론 내렸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중산층을 자신의 지지기반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동력으로 보는 바이든 대통령이 새 워싱턴 컨센서스 구축에 진심이라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의식해 미국식 자유주의와 무역체제를 포괄하는 ‘워싱턴 컨센서스’를 수정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의 최근 대외정책을 분석하며 이같이 결론 내렸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워싱턴 컨센서스는 지난 1989년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존 윌리엄슨이 만들어낸 개념으로, ▲국영기업의 민영화 ▲정부개입 축소 ▲자유무역 ▲정부의 긴축재정 ▲규제완화 ▲외환시장 개방 등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통칭한다.
WP는 ‘워싱턴 컨센서스’의 정점이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세계화가 가속하기 시작했던 지난 2001년이었다고 봤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내놓으면서 30년 이상 지속된 워싱턴 컨센서스를 대체할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변화와 관련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최근 발언이 가장 뚜렷하고 구체적인 사례로 꼽혔다. 설리번 보좌관은 지난달 27일 워싱턴DC에 있는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 대담에서 “미국 국내 제조업에 큰 타격을 준 이른바 ‘중국 충격’의 영향을 적절하게 예측하거나 이에 대응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어 “종합적으로 이는 강력하고 회복력 있는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는 사회경제적 토대를 약화시켰다”며 워싱턴 컨센서스가 시장경제의 작동에 대해 ‘지나치게 단순화된 가정’에 의존했다고 말했다.
WP는 설리번 보좌관이 바이든 대통령의 ‘중산층을 위한 외교 정책’을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점을 주목했다. 중산층을 자신의 지지기반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동력으로 보는 바이든 대통령이 새 워싱턴 컨센서스 구축에 진심이라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중산층을 위한 바이든 대통령의 대외정책은 지난해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Chips Act)이 핵심이다. 이는 자본을 자국의 경제력과 기술력에 투자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공중보건 증진을 위한 공공재에 쓴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이 같은 정책이 결국 위험한 보호무역주의로의 회귀라는 비판도 나온다. 그간 지구촌을 풍요롭게 한 자유주의에서 물러남으로써 세계경제와 국제무역의 미래에 해를 끼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의 에드워드 루체 칼럼니스트는 “미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할 수 없고 세계 디지털 규칙에 대해 협상할 수 없으며 WTO 판결을 준수할 수 없고 경제적 다자주의에 대한 믿음이 사라진 비관적인 시대”라고 말했다.
루체는 “기존의 워싱턴 컨센서스는 한 국가가 부유해지면 다른 국가도 부유해지는 ‘포지티브 섬’ 게임이었다면, 새로운 컨센서스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희생시키면서 성장하는 ‘제로섬 게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설리번 보좌관은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새 워싱턴 컨센서스가 미국 혼자 또는 미국과 서방이 다른 국가를 배제하는 것이라는 생각은 틀린 것”이라고 반박했다.
다른 바이든 행정부 전직 고위관리들도 설리번 보좌관과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사미라 파질리 전 미국 국가경제위원회(NEC) 부의장은 최근 싱크탱크 루스벨트 연구소 주최 행사에서 “수십년간의 자유시장 근본주의가 우리 경제를 취약하게 만들고 국가 안보를 약화했다는 것과 우리가 반도체나 의약품과 같은 필수 재화를 생산할 능력이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제니퍼 해리스 전 국가안보회의(NSC) 국제경제 선임 국장은 다른 국가들이 미국의 산업정책과 친환경 기술 보조금 정책을 따라 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과 부합한다며 “우리는 친환경 산업 정책을 세계화하는 방향으로 미국의 외교 정책을 재조정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
- 우리은행, ‘외부인 허위 서류 제출’로 25억원 규모 금융사고… 올해만 네 번째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