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무료급식소…노인들 “100m 줄서도 고맙지”

김세훈 기자 2023. 5. 7. 21: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고물가 여파로 하나 둘 중단하자 ‘허경영 급식소’ 북적
SNS 홍보 등 정치적 선전 우려에 이용자들 “인지상정 아니냐”
‘하늘궁’ 앞 긴 줄 노인들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무료급식을 받기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 모자를 쓴 하늘궁 무료급식소 관계자가 대기줄을 통제하고 있다. 김세훈 기자

어버이날을 하루 앞둔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후문에 노인들이 한 줄로 길게 늘어섰다. 국가혁명당 총재인 허경영씨(76)가 운영하는 무료급식소에서 식사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줄이었다. 허씨는 지난해 4월부터 탑골공원 무료급식소 운영을 시작했다. 급식은 오전 11시30분부터 시작되지만 11시부터 대기줄은 이미 100m 넘게 이어졌다.

등판에 ‘허경영 하늘궁 무료급식소’ ‘유튜브 허경영 강연’ 등의 글자가 적힌 빨간 조끼 등을 입은 자원봉사자들이 행렬을 통제했다. 자원봉사자가 급식 대기번호표를 나눠주며 “허경영!”을 외치자 일부 노인들이 따라 외쳤다. 비가 내리며 날씨가 궂었던 전날 오전에도 노인 230여명이 이곳에서 무료급식을 받아갔다. 하늘궁 무료급식소 관계자는 “비가 오면 오는 사람이 좀 적지만 평소에는 300명, 많을 때는 500명도 온다”고 했다.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사는 정근모씨(63)는 매주 네댓번 이 급식소를 찾는다. 평소 오전 3시에 일어나서 몇 차례 환승한 끝에 충남의 한 무료급식소에서 어죽으로 아침을 해결하고, 오전 11시쯤 탑골공원에 도착해 하늘궁 무료급식소에서 도시락을 받아간다. 이후에도 인근 원각사 무료급식소, 청량리 밥퍼 무료급식소 등을 전전한다고 했다. 혹여 무료급식이 떨어졌거나 없는 날에는 두부나 떡 따위로 끼니를 때운다. 정씨는 “늘 오다 보니 아는 얼굴들이 꽤 있다”며 “나처럼 오전 일찍부터 여러 곳의 무료급식소를 돌아다니는 사람이 100명은 넘는다”고 했다.

허씨의 무료급식소가 특히 성황인 것은 기존에 운영되던 다른 무료급식소들이 코로나19 사태와 이후 고물가 여파로 운영난을 겪으며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사비까지 털어 봉사 개념으로 운영되던 급식소들이 하나둘씩 운영을 중단하자 자본과 인력이 풍부한 허씨가 그 틈새를 파고든 것이다.

일각에선 지난 대선에 출마하기도 한 허씨가 급식소를 정치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급식소 현장이 정치적 선전에 이용되는 모습도 엿보였다.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며 ‘봉사대통령 허경영’ 등 키워드를 함께 올리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게시하는 식이다. 유튜브와 SNS에는 무료급식 관련 후원계좌 번호를 적어놓기도 했다. 지지자들은 영상과 게시글을 공유하며 “역시 허경영, 이런 분이 대통령 됐으면 국민은 돈 걱정 없이 살고 있었을 텐데”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 끼 해결 어버이날을 하루 앞둔 7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 원각사 무료급식소에서 노인들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날 탑골공원에는 허씨의 얼굴과 그의 후원계좌번호 등이 인쇄된 현수막과 입간판이 걸려 있었다. 무료급식소 한쪽에 설치된 스피커에서는 허씨의 정치 활동 등 이력을 소개하는 방송이 흘러나왔다. 하늘궁 무료급식소 관계자는 “정당 가입을 독려하거나, 후원금 모금 등의 활동은 하고 있지 않다. 관심이 있다는 사람에게 방법을 알려주는 정도”라며 “탑골공원에서 무료급식을 시작한 것도 어려운 형편의 노인분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일 뿐”이라고 했다.

여러 우려에도 급식소 이용자들은 허씨를 ‘고마운 존재’라고 표현했다. 이모씨(73)는 “허 총재가 형편 어려운 서민들에게 봉사하니까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며 “인지상정이라는 게 있지 않나. ‘대통령선거에 나오면 찍어준다’고 말하고 다닌다”고 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