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성장에 웃음꽃 핀 중국…수산화리튬 수입액 49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며 국내 배터리 3사의 매출액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리튬 등 핵심 소재 시장을 장악한 중국의 영향력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7일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배터리 양극재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1억6000만달러(2조8000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490.3% 급증했다.
작년 한 해 국내 배터리 업계가 중국에서 수산화리튬을 들여오는 데 쓴 돈은 32억3000만달러 수준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발트·흑연 등도 중국 비중 커·소재 자립 집중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며 국내 배터리 3사의 매출액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리튬 등 핵심 소재 시장을 장악한 중국의 영향력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7일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배터리 양극재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1억6000만달러(2조8000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490.3% 급증했다.
연간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2017년 1억3000만달러로 처음 1억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2018년 2억3000만달러, 2019년 3억9000만달러, 2020년 4억4000만달러, 2021년 6억7000만달러, 2022년 36억8000만달러 등 폭증 추세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양극재 제조에 쓰이는 수산화리튬을 거의 전량 수입해 쓰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산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수산화리튬의 중국산 비중은 수입액 기준 지난해 87.9%에 달했다.
작년 한 해 국내 배터리 업계가 중국에서 수산화리튬을 들여오는 데 쓴 돈은 32억3000만달러 수준이다.
올해 1분기에만 중국산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18억2000만달러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중국산 수산화리튬 수입액은 약 73억달러, 한화 1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산화리튬은 광산이나 염호에서 추출된 리튬 광물이나 화합물을 배터리 제조에 곧바로 쓰일 수 있는 수준까지 정련해 가공한 가루 형태 물질이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주도하는 하이니켈 NCM 계열 배터리의 양극재를 만들 때 수산화리튬 형태의 리튬이 필요하다.
국내 배터리 업계가 이런 수산화리튬을 중국에서 수입하는 것은 리튬을 포함한 세계 배터리 소재 상류 산업(업스트림)을 중국이 장악하고 있어서다.
코발트, 흑연 등 다른 배터리 핵심 소재에서도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가령 음극재의 핵심 원료인 천연흑연의 경우 국내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생산하지만, 원료 자체는 전량 중국 협력사에서 들여온다.
이에 국내 배터리 업계는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 나서고 있다. 중국을 배제하고 자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도 이런 움직임을 부추기고 있다.
리튬 자급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포스코다. 포스코그룹은 2018년 리튬 자원 확보를 위해 아르헨티나 염호를 인수했다. 1단계 공장이 완공되는 2024년부터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수산화리튬을 생산해 도입할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들여온 중간 물질인 탄산리튬을 국내 공장에서 가공해 연 2만5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을 직접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전기차 약 60만대에 쓰일 수 있는 규모다.
포스코는 염수 리튬과 광석 리튬,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을 통해 2030년까지 리튬 생산량 연 30만t(톤) 체제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4월 아프리카 모로코에서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중국 야화와 맺었다. 모로코는 미국·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이어서 IRA 조건 충족에 유리하다.
IRA 규정상 전기차 배터리에 미국 또는 미국과 FTA를 맺은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을 40% 이상을 써야 최대 3750달러의 차량 구매 보조금이 나간다. 이 비율은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80%까지 오른다.
김경훈 무역협회 공급망분석팀장은 “수산화리튬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질 것 같지 않다”며 “포스코 같은 국내 기업들이 IRA 환경을 맞아 시의적절하게 투자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jiyu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文책방 ‘열정페이’ 논란부른 자원봉사자…“최저임금 누가 올렸더라”
- "이걸 먹으라고 남겼냐"…남편이 남긴 '족발'에 부부싸움까지
- “파스가 거기서 거기지?” 손흥민·김동현 파스는 뭐가 다른가?
- 5억 ‘영끌’ 김대리 ‘노도강' 대신 산 이곳…2030 왜 송파를 택했나 [부동산360]
- “월 100만원도 힘들어요” 2년 ‘올인’ 결국 떠나는 유튜버 실상, 이 정도였어?
- '강한 엄마' 이시영, 어린이날 우천 놀이공원 인증…"2kg은 빠진 듯"
- “노잼 같던 너, 불량해서 더 좋아” 샤넬·디올이 반한 한국산 ‘이것’ [김유진의 브랜드피디
- “티 입은 남자, 누군가 했더니” 백종원 빠진 게임…난리나겠네
- “170만원 아이폰, 원가는 50만원” 애플 엄청난 수익 비결 알고보니
- “천벌 받아 암 걸렸냐” ‘암 투병’ 사장에 달린 분노유발 배달앱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