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연체율·금리 오르는데 코로나 대출 만기연장 37조
국내 5대 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에 대한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 잔액이 3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는 9월부터 은행권과 차주 간 협의에 따라 지원 조치가 순차적으로 종료될 예정인데, 2024년 총선이 임박하면서 시장 불안 해소를 명분으로 금융 지원이 또다시 무기한 연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시장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대출 연장이 자칫 '독'이 될 수 있어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 따르면 지난 4일까지 원금과 이자 납기가 연장된 코로나19 금융 지원 잔액은 36조6206억원(25만9594건)이었다.
이 가운데 만기 연장 액수는 34조8135억원이다. 대출 원금·이자 상환이 유예된 액수는 각각 1조5309억원, 2762억원이었다.
이 같은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를 바탕으로 은행권 연체율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연체율이 올해 초부터 상승 추이로 반전돼 우려를 키우고 있다. 지난 2월 말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은 0.36%로 한 달 새 0.05%포인트 올랐다. 이는 코로나19 시기였던 2020년 8월 0.38%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치다. 이에 은행권에서는 금융·실물 복합위기 대응을 위한 전담팀을 운영하고, 부실 위험을 알아차리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위험을 조기 감지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다만 현재 연체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금융 지원이 이뤄지기 이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2022년 9월부터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의 연장을 민간 자율에 맡기는 것으로 기조를 전환한 바 있다. 금융당국은 당초에 4차례나 지원 조치를 연장하며 부실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해 지난해 9월 이를 종료할 방침이었지만, 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 불안과 정치권 압박에 민간 자율 형태로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를 사실상 5번째 연장했다.
2021년부터 금리 인상기가 시작되며 상환을 미룬 차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진 경우도 나올 수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새출발기금 등을 통해 부실 우려가 큰 차주의 채무를 조정하는 정책을 함께 발표한 바 있다.
[문재용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데이트 때 동생에게 미안”…22세 샴쌍둥이, 편견에 맞선 ‘더불어 삶’ - 매일경제
- “월급 적지만 이것 때문에 버텼는데”…2030공무원들 ‘부글부글’ 왜? - 매일경제
- 박항서는 우승컵 2번이나 챙겼는데...베트남 축구팬 뿔난 이유는 [신짜오 베트남] - 매일경제
- ‘상위 1%’ 유튜버 연수입 7억1300만원...하위 50%는 40만원 - 매일경제
- ‘민주당 돈봉투’ 이정근 왜 통화 녹음했나? 대답은...[법조 인싸] - 매일경제
- 배우 이정재, 尹 취임 1년에 바라는 이 한마디...시장 상인들은 - 매일경제
- 사과·자두도 못먹겠네...벌써 가을이 걱정, 이 동네 날씨가 어땠길래 [방방콕콕] - 매일경제
- [속보] 尹대통령, 기시다와 회담 시작…대통령실서 의장대 사열 - 매일경제
- “고금리에 집 사기 겁나는데”…중국인 집주인에 월세내려니 ‘허탈’ - 매일경제
- 토트넘·맨유 김민재 영입 경쟁…나폴리는 잔류 희망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