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이 코로나로 상환 미룬 소상공인·중기 대출 37조원
주요 시중은행이 코로나19 사태로 만기연장과 상환유예한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 37조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9월에 예정대로 상환유예 기간이 종료하면 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각 은행은 연착륙 유도에 힘쓰고 있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이 2020년 3월부터 현재까지 원금과 이자 납입 기한을 연장한 대출 잔액은 36조6206억원, 건수는 25만9594건(중복 포함)으로 나타났다.
대출 만기 연장이 34조8135억원, 원금 상환 유예가 1조5309억원, 이자 유예가 2762억원이었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하자 2020년 4월부터 만기연장·상환유예 제도를 시행했다. 6개월 단위로 네 차례 연장한 지난해 9월까지 전 금융권의 만기연장·상환유예 잔액은 141조원(만기연장 124조7000억원·원금 유예 12조1000억원·이자 유예 4조6000억원)이었다.
지난해 9월에는 만기연장 최대 3년, 상환유예 최대 1년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이전의 일괄연장 방식에서 금융사와 차주(돈 빌린 사람)간 자율협약을 맺도록 한 게 차이점이었다. 차주가 상환계획을 마련하게 하고 상환이 어렵다면 채무조정을 받도록 유도했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9월 0.21%에서 지난 2월 0.36%로 5개월 만에 0.15%포인트 상승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크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상환유예 지원 기간이 예정대로 오는 9월에 종료하면 부실 대출 규모가 늘고 금융사의 건전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부실 대출 급증을 막기 위해 충당금을 늘리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취약 부문을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2월에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TF)’ 조직을 만들어 선제적 위험 관리와 취약 차주 연착륙 프로그램 지원을 하고 있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나도 있다”…‘이재명 대 한동훈’ 구도 흔드는 경쟁자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