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제주어를 지켜라” 동요부터 웹툰까지 보전대책 ‘고심’

박미라 기자 2023. 5. 7. 13: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올해 방언 교육과 홍보 30개 사업 추진
제주 돌하르방. 경향신문 자료사진

“와리지 말곡 도투지 말곡, 우리아방 조드르멍 맹심허랜 맹심…” (서두르지 말고 다투지 말고, 우리 아버지 걱정하며 명심해라 명심).

제주어 창작동요 <맹심허라>(명심해라) 일부다. 제주도가 이 동요처럼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제주어를 지키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추진한다.

제주도는 올해 제주어 보전·육성에 7억4000만원을 투입해 제주어 교육과 제주어 홍보 등 30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제주어 교육사업은 제주어에 익숙하지 않은 초등학생과 이주민 등을 대상으로 한다. 초등 방문교육, 제주어 청소년 교육, 제주문화로 배우는 제주어 교육 과정 등 9개 사업으로 구성돼 이달부터 시작한다.

친근하게 제주어를 알리기 위해 제주어 드라마와 제주어 뉴스를 제작해 방송하고 제주어 음악여행 등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웹툰 기반 콘텐츠, 노래로 전하는 제주어 알림 프로그램, 제주어 연극, 제주어 문학상, 제주어 배우기 같은 프로그램도 도민들이 제주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제주어대사전 편찬, 제주어 포럼, 제주어 총서 발간, 제주어 왜곡 사용 사례 조사 등의 사업도 이어간다.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사전에 잘못 표기된 제주어를 조사해 실제 발음에 가까운 표기로 수정하고 있다. 고기와 모자반을 넣어 끓인 제주의 전통음식인 ‘몸국’이 맘국으로 발음되거나 무를 뜻하는 ‘놈삐’가 남삐로 잘못 표기된 것을 수정하는 식이다. 이는 제주어에 한글 옛 자모인 아래아 ‘ㆍ’가 여전히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제주학연구센터와 협업해 지난해 우리말샘에 잘못 표기된 142개 표제어를 수정한데 이어 올해에도 400여개 이상 어휘를 발굴해 수정할 계획이다.

제주방언은 다른 지역 사람들이 들었을 때 의사 소통이 쉽지 않을 정도로 고유한 언어 특성을 가졌다. 하지만 표준 한국어 교육이 이뤄지고 균질화된 대중매체, 정보통신 발전에 따른 언어의 보편화 등으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용이 급격히 줄고 있다.

유네스코는 2010년 12월 제주어를 5개 소멸 위기 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했다. 이 때문에 제주에서는 지역 정체성을 담은 제주어를 보전하기위해 ‘제주어보전 및 육성 조례’ 제정부터 제주어 표기법 제정, 제주어 사전 발간 등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오성율 제주도문화체육교육국장은 “기존의 오프라인 위주의 언어교육에서 탈피하기 위해 온라인과 3차원 가상세계(메타버스)로 배울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예정”이라면서 “제주 문화의 정수인 제주어의 보전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효과적인 제주어 보전과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