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곳 안전하지 않다"는 국민 다수…도심·여성·40대↑

변해정 기자 2023. 5. 7. 13: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행안부, 尹정부 출범 후 첫 국민체감도 설문조사
종합 56.9점 그쳐…미취학 자녀 둔 가구 더 불안
대형사고 잦은 광주>인천>서울 順 불안도 높아

[세종=뉴시스] 변해정 기자 = 도시에 살고 미취학 자녀를 둔 가구일수록 체감 안전도가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원전 사고보다는 미세먼지나 화재·폭발과 같이 자주 경험해봤던 재난·사고 유형일수록 불안감은 더 컸다.

7일 행정안전부가 여론 조사업체 알앤알컨설팅에 의뢰한 '2023년 재난관리평가 국민체감도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지난 3월 2~9일 8일간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79%포인트다.

이 조사는 행안부가 주도해 매년 이뤄지며 윤석열정부 출범 후로는 처음 나온 것이다. 특히 올해는 '예방-대비-대응-복구' 지수 중심의 예년 조사와 달리 국민이 느끼고 인지하는 정도를 묻는 항목으로 전면 수정됐다.

재난안전 체감도와 재난관리 수행역량을 합산한 종합체감도는 100점 만점에 56.9점에 그쳤다. 이 숫자는 낮을수록 불안감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국민이 현재 생활하는 지역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안전도와 지난해 밀접하게 경험한 재난·사고를 토대로 산출한 재난안전 체감도가 61.8점이었다. 사는 곳의 재난관리 수행 역량을 점수화한 재난관리 수행역량은 이보다 더 낮은 55.7점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도심지에 거주하는 국민이 느끼는 안전도가 56.5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해안가(58.0점), 농경지(58.8점), 산지(60.3점)는 전체 평균치보다 높았다.

17개 시·도별로는 지난해 아파트 공사 중 붕괴 사고가 났던 광주(53.6점) 지역이 가장 낮게 나왔다.

물류창고 등 대형 화재가 잇따랐던 인천(54.8점)과 이태원 압사 참사가 벌어진 서울(55.8점)의 안전도도 낮은 편에 속했다.

반면 세종(61.8점) 지역의 종합체감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뒤이어 경남(58.9점), 충남·제주(각 58.6점), 강원(58.0점), 전남(57.7점), 경북(57.6점), 부산(57.5점), 충북(57.3점), 울산(57.0점), 경기(56.7점), 대구(56.5점), 대전·전북(각 56.1점)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성(56.0점)이 남성(57.0점)보다 거주 지역이 더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연령별로는 40대(53.1점)가 거주 지역의 안전도를 가장 낮게 봤다. 뒤이어 50대(55.9점), 60대(56.4점), 30대(57.3점), 70대 이상(58.5점), 20대(61.3점) 순이었다.

가족 유형별로는 자녀를 둔 가구(56.6점)가 체감하는 안전도가 가장 낮았다. '1인 가구'(57.3점)와 '부부(2인) 가구'(57.5점)는 상대적으로 덜 불안해했다.

자녀를 둔 가구 중에서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55.6점)가 '미취학 자녀 없음(56.8점)'보다 더 안전하지 않다고 받아들였다.

재난·사고 유형별로는 '미세먼지'(42.6점)에 대한 안전도가 가장 낮았다. 폭염·감염병(각 57.4점), 화재·폭발(60.4점), 산불(61.8점), 가뭄(62.0점) 등 발생 빈도가 잦은 재난·사고 유형일수록 불안감은 컸다.

반대로 원전사고(69.7점)로부터 안전하다고 느끼는 국민들은 상대적으로 많았다. 다중밀집사고(67.7점), 풍수해(67.1점), 화학물질 누출사고(66.5점), 붕괴사고(64.7점), 지진·산업재해(각 63.5점) 등에 대한 걱정도 적은 편이었다.

거주 지역이 안전하지 않다는 느끼는 이유로는 전체의 31.8%가 '각종 재난·사고가 많이 일어나서'라고 지목해 가장 많았다. '각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 부족'은 27.2%, '지자체의 관리 소홀'은 16.1%, '재난 발생 시 피해 지원 부족'은 4.9%로 각각 나왔다.

불안전하다고 느끼는 이유를 '재난 발생 시 행동요령을 몰라서'라며 자신의 문제로 바라본 경우는 8.4%에 불과했다.

재난관리 정책 인지도(복수응답) 중에서는 '지진 국민행동요령'이 74.9%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무더위쉼터(53.9%), 재난안전훈련(42.9%), 풍수해보험(32.4%), 무료 심리지원서비스(38.9%), 임시주거시설 위치(22.8%) 등의 순이었다.

재난관리 수행 역량으로는 '신속한 상황 전파'(62.3점)를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인명 구조 등 초기 대응'(58.5점)과 '재난안전 정책 홍보'(57.1점)가 뒤따랐다.

이에 대해 행안부는 "안전 체감도와 재난관리 수향역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지역별 주된 재난 유형 파악과 맞춤형 대책 수립이 필요해 보인다"며 "재난대비훈련 확대와 정책 홍보 강화를 통해 국민 의식도 더욱 높여나가야 한다"고 결론 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