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잡는 데만 반년··· ‘예정된 갈등’ 어떻게 풀까[윤석열 정부 1년-교육개혁]
출범 반년 만에 교육개혁 첫 걸음 뗐지만
교전원 도입 사실상 좌초···주요 정책발표 잇단 연기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반부터 3대 개혁 과제 중 하나로 ‘교육개혁’을 내세웠다. 그러나 교육부는 지난 1년간 잦은 논란을 자초하면서 개혁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인수위원회 단계에서는 110대 국정과제에 교육 관련 과제가 5개밖에 들어가지 못하면서 교육부 자체가 홀대론과 폐지론에 시달렸다. 윤석열 정부 첫 장관으로 지명된 김인철 전 한국외대 총장은 가족 장학금 의혹으로 낙마했다. 뒤늦게 임명된 박순애 장관은 대선 공약에도, 국정과제에도 없었던 ‘만 5세 초등학교 입학’ 학제개편안을 들고나왔다가 국민의 반발만 불러일으키고 34일만에 사퇴했다.
교육개혁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취임한 뒤에야 시작했다. 유·초중등교육 분야에서는 유아교육·보육 통합(유보통합)과 초등 늘봄학교, 디지털교과서 도입 등 디지털 전환이 핵심 개혁과제로 선정됐다. 고등교육 분야에서는 대학에 대한 정원규제를 풀고 교육부 평가를 폐지하는 등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기조가 명확해졌다. 시도교육감과 교원단체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초중등 교육에 쓰이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일부를 떼어내 10조원 규모의 고등·평생교육특별회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대학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하는 ‘라이즈 체계’ 구축, 30개 대학을 선정해 1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 사업도 올 초 첫발을 뗐다.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이들 과제는 대부분 민감한 쟁점을 안고 있다. 특히 교육부가 일단 계획을 발표하거나 시범사업을 시작한 뒤 핵심 쟁점에 대한 해법 발표는 뒤로 미루는 사례가 많아 앞으로 주요 과제들이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진통과 잡음이 불가피하다. 유보통합은 초기에 관리주체를 교육부로 정리하는 성과를 냈지만, 최대 난제로 꼽히는 교사 자격·처우 통합에는 아직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시범사업을 시작한 초등 늘봄학교 정책도 현장교사들과 돌봄전담사 등의 반발이 현재진행형이다.
섣부르게 계획부터 내놓은 사업은 이해당사자들의 반발을 잠재우지 못해 사실상 좌초됐다. 지난 4월 시범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던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은 교·사대생들의 반발로 무기한 연기됐다. 자사고·외고 존치 등을 핵심으로 하는 고교 교육력 제고방안, 고교학점제 보완 방안, 사교육비 종합대책 등 굵직한 정책 발표 시기가 특별한 설명 없이 연기됐다. 교육자유특구, 교육감 러닝메이트제 도입 등 아직 구체화하지 않은 교육개혁 과제들 역시 부작용과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육개발원장을 지낸 반상진 전북대 교수는 지난달 열린 윤석열 정부 교육정책 1년 평가 토론회에서 “대선 교육공약과 국정과제와 관련 없이 교육부가 독자적인 정책을 톱다운식(하향식)으로 발표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대학설립운영규정이나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 제정 등 의견수렴 없이 일단 발표하고 이후에 야당을 설득해 법안을 처리하는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나도 있다”…‘이재명 대 한동훈’ 구도 흔드는 경쟁자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