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라면도 사치?".. 부담되서 못 사고, 못 먹어 '어떡해'
햄버거·피자·라면 등 20% 이상 올라.. "수요 늘어"
외식 외 서비스 품목 동반 상승.. 생활비 전반 '압박'
먹거리 지출 긴축 등 '한계'.. 가계 재정 압박 심화
벌어도 채워도 주머니가 가벼운 이유가 있었습니다.
물가는 계속 올랐고, 내려간 적이 없었습니다. 외식 물가가 2년 5개월 동안 내리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코로나19 시기라 할 지난 29개월 내내 쉼 없이 외식비가 비싸지면서 가계 재정을 압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종 서비스 품목도 상승세를 이어간데다, 장기적이고 기초적인 물가 추세 기준이 되는 근원물가도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전체 물가를 잡지 못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은 당분간,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 상황만으로도 힘겨운 가계엔 재정 피로도를 높여, 자칫 경제적인 불평등을 더 심화시키는게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지수는 117.15(2020년=100)로 한달 전보다 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와 9월 9.0%까지 오른 이후, 지난달 7.6%로 소폭 떨어졌지만 전달과 비교해 2020년 12월부터 29개월 동안 오름세를 이어가는 상황입니다.
29개월 동안 누적된 외식 물가 상승률만 해도 16.8%로 집계됐습니다.
품목별 햄버거(27.8%), 피자(24.3%), 김밥(23.2%), 갈비탕(22.5%), 라면(21.2%) 등 주요 인기메뉴들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어 자장면(21.0%), 생선회(20.4%), 떡볶이(19.9%) 등도 20% 내외로 상승률이 높아 외식 의존도가 높은 경우 부담을 더 가중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원유나 곡물가격 등의 원가 상승과 함께 인건비가 오르는 등 여러 요인이 시차를 두고 메뉴 가격에 영향을 미쳤고, 매달 상승세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로 종전 집이나 배달 등에 몰리던 식료품 수요가 외식으로 넘어가고, 5월 가정의달 역시도 외식 등 관련 수요가 늘 시기라 외식 물가가 지속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단 외식 가격만 올라 가계 부담을 더하는 것도 아닙니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물가 지수도 한 달 전과 비교해 0.8% 올랐습니다. 외식 외 개인 서비스 77개 품목 중 한 달 전보다 오른 품목 수도 56개, 72.7%에 달할 정도입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에 야외 나들이다 여행 수요가 늘면서 관련된 물가가 줄줄이 올랐습니다. 호텔숙박료(5.5%)에 승용차임차료(5.0%), 국내단체여행비(4.4%), 운동경기관람료(2.5%) 등 일부 여행·레저 관련 품목이 한 달 새 2% 넘게 상승했습니다.
외식 물가 상승 여파에, 근원물가 역시도 상승세를 이어가는 양상입니다.
석유가 등 하락으로 전반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됐는데, 한 번 오르면 잘 내려가지 않는 외식 등 서비스 물가의 경직성이 맞물려 기초적인 핵심물가가 상승 추세를 이어간다는 얘기입니다.
지난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4.0% 올라 전달 상승률(4.0%)과 같았고, 9개월째 4% 이상을 기록하는 중입니다. 지난해 11월 4.3%까지 오른 뒤 5개월간 하락 폭이라야 0.3%포인트(p)에 그쳤을 정도입니다.
반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0%에서 3.7%로 1.3%p 떨어졌습니다.
외식이나 서비스물가는 특히나 소비자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더 크다는데서 우려를 더합니다.
식량, 식품, 음식 등 이른바 먹거리는 줄이는데도 한계가 있는 이른바 ‘필수재’로 생필품 가격이 계속 올라도 가계로선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지출 부담만 커질 수밖에 없는 탓입니다.
특히나 생계 유지를 위해 필수 지출을 줄여야만 하는 저소득 가구의 경우엔, 이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미칠 영향은 더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련해 전문가들은 "외식 등 먹거리물가 상승이 자칫 경제적 불평등을 악화시킬 우려가 크다"며 "파장을 줄일 정책 차원의 선제 조치는 물론 적어도 가계에 최소한 생활 수준을 유지할 안전장치를 제공할수 있는 정책 역할을 찾아야할 것"이라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