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를때까지 버텨”...전세사기 피해자한테 집 사라는 정부 [나기자의 데이터로 세상읽기]
하락장되면서 전세사기로 전환
정부, 3년거치 혜택 등 제공하며
전세사기 피해자에게 매매 유도
부동산 부양책 중 일부로 해석돼
근본대책은 전세자금대출 축소
부동산 기득권 의식해 못 줄여
세입자, 안심전세앱 설치해야
인천 미추홀구, 구리, 동탄 등 전국 각지서 발생한 전세사기가 사회적 화두입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지난달 27일 범부처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발표했죠. 사실 이는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집 값 상승기땐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겁니다. 설사 경매를 진행했어도 이미 상승한 집값을 처분하면 은행빚(선순위)과 세입자 전세보증금(후순위) 모두를 충당할 수 있었을테니 말이죠. 하지만 집값이 하락하고 경매 낙찰가율이 61%(인천 미추홀구 평균치)까지 떨어지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은행이 대출금을 먼저 회수해버리면서 세입자는 눈뜨고 전세보증금을 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버렸습니다. 세입자 1명당 평균 피해액이 약 8000만원 가량으로 추산된다고 하죠. 3명의 목숨까지 앗아갈 정도로 비극적인 일입니다.
그렇다면 정부 대책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걸까요? 그리고 앞으로 어떤 대책이 추가로 필요한걸까요?
전세사기 피해자에겐 2%대 저금리(대출한도 4억원)로 신규주택 혹은 지금 경매로 넘어가는 주택을 매매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집니다. 엥간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4%대인 것을 감안하면, 30년 만기로 봤을 때 이자만 해도 꽤나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30년 만기로 4억원을 빌린다고 했을 때, 금리 4.5%를 적용하면 30년 동안 납부하는 이자는 약 3.3억원에 달합니다. 반면 금리 2.5%를 적용할 경우 30년 동안 납부하는 이자는 1.7억원입니다. 전세사기 피해자의 가구당 평균 피해액(0.8억원)보다 이자 혜택(1.6억원)이 더 좋습니다.
정부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당장 목돈 갚으라고 압박 안할게. 3년 거치기간 줬으니깐 그때 아마 부동산 또 반등해서 오를거야. 지금 집 사두고 그때 차액봐서 이번에 손실봤던 0.8억원을 메꿔”
금리 2%대 주택구입대출(버팀목) 혹은 3%대 특례보금자리론은 전세사기 피해자 상당수가 이미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청년 혹은 사회초년생들이 많았기 때문이죠.
정부가 또 내놓은 LH 매입임대 수준의 낮은 전세가, 즉 저렴하게 오래동안 살 수 있게끔 해주겠다는 것도 크게 와닿진 않죠. 왜냐면 전세사기 피해자 상당수는 1억원 남짓의 빌라 오피스텔에 살았고, 월 10~30만원대의 이자를 통해 저렴하게 살았으니깐요. 아무리 정부가 지원해줘도 월 이자 10만원 가량 아끼는 정도의 수준인데, 8000만원 손실 보고 월 10만원 아껴주겠다고 하니 피해자 입장에선 복장이 터질 수밖에 없습니다.
전세자금대출 축소가 해답이라는게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왜냐하면 전세자금대출로 인해서 전세가가 뻥튀기가 되고, 이 부분이 매매가 상승까지 이어지면서 집 값을 과도하게 상승시켰기 때문이죠. 부동산 상승장을 틈타서 갭투자꾼들이 많아지고 그것이 바로 전세사기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고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집 값 상승기땐 전혀 터지지 않았을 문제입니다. 하지만 집 값 하락기가 되면서 어김없이 역전세, 깡통전세, 그리고 전세사기가 등장하고 말았죠. 이를 조금이나마 방지하기 위해선 과도하게 부동산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는 전세자금대출을 순차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지난해 4월 보고서를 통해 △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주택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제한하거나 △ 전세자금대출 원리금 상환 유도 △ 전세자금대출 DSR 산정에 포함 등이 필요하다고 정책 제언을 했죠.
하지만 국회의원과 정부 고위관료 대다수가 강남 등 좋은 지역에 살고 있고 ‘나만 아니면 돼’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결책이 명확한데도 전세자금대출을 줄이려는 시도는 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상당수 관료, 그리고 우리사회 엘리트들이 ‘그래도 서울은 안떨어져’ ‘서울 중에 강남은 괜찮아’란 의식을 공유하고 있죠. 100년 후 역사가들은 인위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유동성을 지나치게 공급한 전세자금대출이 전세사기로 이어졌다고 적을지도 모릅니다. 지금 정부의 전세사기 대책은 땜질처방식 대책으로 보여집니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안심전세앱을 출시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0억 없이는 못 사요”...오를 일만 남았다는 분양가, 청약시장 미래는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그랜저 잡겠다” 50년만에 한국온 일본車…사장차 원조, 토요타 크라운 [왜몰랐을카] - 매일경
- “차 긁은 애, 혼만 내려 했는데”…엄마 항의에 맘 바꾼 차주 - 매일경제
- “통신비 수십만원 아끼세요”…100만 이탈에 이통사가 꺼낸 대책 [아이티라떼] - 매일경제
- “중국 버리고 떠나겠다”...이사 준비하고 있다는 미국 기업들, 떠오르는 국가는? - 매일경제
- 저 잘생긴 남자는 누구?…英 대관식에서 여심 훔친 국왕의 오촌조카 - 매일경제
- “1년내 퇴사하면 월급 내놔야”…황당 근로계약, 갑질 실태 보니 - 매일경제
- 백신 맞아도 70% 감염 …"韓 의무접종은 무리수" - 매일경제
- “금리인상 여파 이 정도일 줄은”…1년간 부동산 거래·집값 ‘뚝’ - 매일경제
- 미네소타 감독, 첫 골 터트린 정상빈에 “더 좋아졌다” [인터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