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니까" '김남국 60억원 코인 논란'에 진중권 교수가 남긴 말

원성윤 2023. 5. 6. 1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상화폐 위믹스를 지난해 60억원 가량 보유했다는 논란이 정치권으로 번지고 있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김 의원이 대선 선거운동이 한창이던 지난해 1~2월 위믹스 코인을 최대 60억 원어치 보유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원성윤 기자]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상화폐 위믹스를 지난해 60억원 가량 보유했다는 논란이 정치권으로 번지고 있다. 민주당 측에서는 "이준석 전 대표도 비트코인을 보유했다"고 맞서고 있지만, 좀처럼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김남국 의원 60억 코인보유에 대해 "민주당이 표방하는 가치가 뭡니까? 그게 아니기에 문제가 되는 것, 그래서 위선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사진=뉴시스]

지난 5일 CBS 라디오 '한판 승부'에 출연한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은 "이준석 대표가 서너번 선거 치를 자금을 비트코인 거래를 통해서 다 만들어두었다고 했을 땐 어떤 사람도 부도덕한 정치인이라고 공격했던 적이 없었다"면서 "그런데 김남국이라는 인물에게 암호화폐 거래를 비판하는 건 (불공평하다)"고 지적했다.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은 "이준석 대표가 서너번 선거 치를 자금을 비트코인 거래를 통해서 다 만들어두었다고 했을 땐 어떤 사람도 부도덕한 정치인이라고 공격했던 적이 없었다"고 김남국 의원을 옹호했다. [사진=정소희 기자]

이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그 사람(이준석)은 국민의힘 사람이다. 그들은 원래 그런 사람들이고 민주당은 그런 정당이 아니기 때문이다"며 "민주당이 표방하는 가치가 뭡니까? 그게 아니기에 문제가 되는 것, 그래서 위선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진 교수는 "그 돈이 어떤 돈이냐? 젊은 이들이 영끌해서 날린 뒤 극단적 선택을 한 그 돈으로 선거를 치른다? 이건 민주당 정치인들이라면 자기들이 표방하는 가치상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짓"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김 소장은 "아무리 그래도 청년이 극단적 선택을 한 돈으로 민주당이 돈을 벌었다는 표현은 좀 과하다"며 발끈했다.

이에 진 전 교수는 "주식은 실물과 연동, 기업의 투자 및 경제 활동과 연동돼 있지만 코인은 순수한 도박판인데 이런 판에 뛰어드냐"고 맞섰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2월 가상화폐 '위믹스'를 60억원 가량 보유했다는 조선일보 보도에 대해 "마치 거래소에서 어디론가 이체해서 은닉한 것처럼 보도했으나, 해당 보도는 명백히 허위 사실"이라고 밝혔다. [사진=뉴시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김 의원이 대선 선거운동이 한창이던 지난해 1~2월 위믹스 코인을 최대 60억 원어치 보유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김 의원이 보유 중이던 약 80만 개의 위믹스 코인을 대선과 트래블룰(가상자산 전송 시 송수신인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 실시를 앞두고 지갑에서 전량 인출했다는 것이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김 의원의 60억 가상화폐 보유에 대한 비난이 거세다"며 "편의점 아이스크림도 안 사 먹고 '한 푼 줍쇼' 구걸까지 하며 후원금에 목말라하던 그가 정작 거액의 코인 보유자였다는 사실은 팍팍한 일상을 살아가는 국민 모두를 맥 빠지게 한다"고 꼬집었다.

윤 대변인은 "그런데도 김 의원은 '신고 의무'를 따지며 순간을 모면하는 데 급급하다"며 "거액의 코인이 매도됐음에도 김 의원의 재산신고액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공교롭게도 매도 시점은 지난 대선일과 가깝다. 매도한 자금이 어디로 갔는지 확실히 검증돼야 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원성윤 기자(better2017@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