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고생하고도 적자"…값싼 외국산 카네이션에 울상

홍승연 기자 2023. 5. 5. 2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린이날이 지나면 이제 카네이션꽃을 가장 많이 찾는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이 다가옵니다.

[꽃시장 상인 : (가격 차이가 어떻게 돼요?) 좀 많이 나요. (카네이션) 국산은 1만 2천 원, 수입은 7천500원.]

[송학민/카네이션 농장주 : 우리 꽃을 생산해서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어버이날 (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부심으로 농사를 지었는데.]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어린이날이 지나면 이제 카네이션꽃을 가장 많이 찾는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이 다가옵니다. 그런데 워낙 경기가 어렵다 보니 꽃을 찾는 사람들이 계속 줄어들면서 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홍승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출하를 앞둔 붉은색 카네이션이 시설 안에 가득합니다.

5월 가정의 달 대목을 맞아 아홉 달 동안 정성스럽게 키웠습니다.

이 농장은 지난달부터 카네이션 수확을 시작했는데요.

대목을 앞둔 지금쯤이면 사실상 수확이 거의 마무리돼야 하지만, 여전히 이렇게 많이 남아 있습니다.

카네이션을 팔아도 적자가 나자 농가가 수확을 포기한 겁니다.

[송학민/카네이션 농장주 : 인건비는 고사하고 1년 동안 죽을 정도로 고생을 하고 마이너스가 되는 상황입니다. 꽃이 안 팔리니까. 눈물이 날 지경이죠.]

실제로 연료비와 전기요금 등 생산비는 지난해보다 30%가량 올랐지만, 최근 도매 시장에서 국산 카네이션 값은 지난해 이맘때보다 20% 넘게 하락했습니다.


경기 침체로 꽃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큰데, 설상가상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과 콜롬비아 등 외국산 꽃들의 공세도 거세졌습니다.

[꽃시장 상인 : (가격 차이가 어떻게 돼요?) 좀 많이 나요. (카네이션) 국산은 1만 2천 원, 수입은 7천500원.]

[꽃시장 상인 : 사러 오시는 분은 싼 걸 원하니까 비싼 걸 팔 수가 없어요.]

코로나 시기도 견딘 농가들은 더는 버티기 힘들다고 하소연합니다.

[송학민/카네이션 농장주 : 우리 꽃을 생산해서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어버이날 (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부심으로 농사를 지었는데….]

5월 대목을 노리고 저렴한 수입 꽃을 국산으로 속여 파는 행위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화훼 공판장과 꽃집 등 1천여 곳에 대해 특별단속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 영상편집 : 채철호, 화면제공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홍승연 기자redcarro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