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을 낭군[이준식의 한시 한 수]〈211〉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3. 5. 5. 0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묻노니 강물과 바닷물이,어찌 낭군의 정, 소첩의 마음과 비슷하리오.

믿음직한 조류(潮流)보다 못한 낭군의 정이 한스럽고요,제 사랑에 비하면 바닷물도 깊지 않다는 걸 이제야 알았네요.

조류의 운행에 대한 확실한 믿음이 있기에 저들은 안정적이고 평온할 삶을 누릴 수 있다.

한없이 깊다고 믿는 바다조차 남편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에 비하면 얕을 정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묻노니 강물과 바닷물이,
어찌 낭군의 정, 소첩의 마음과 비슷하리오.
믿음직한 조류(潮流)보다 못한 낭군의 정이 한스럽고요,
제 사랑에 비하면 바닷물도 깊지 않다는 걸 이제야 알았네요.
(借問江潮與海水, 何似君情與妾心. 相恨不如潮有信, 相思始覺海非深.)


―‘낭도사(浪淘沙)’·백거이(白居易·772∼846)




남편으로부터 냉대받은 여인의 심사를 대변한 노래. 시인의 자연스러운 시적 충동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는 없고 항간에 떠도는 여인네들의 불평을 들었거나, 민간에 구전되는 노래를 좀 더 세련된 표현으로 승화시키려 했을 테다. 그도 아니면 관행에 따라 군주로부터 소외된 신하의 처지를 남녀 관계에 빗댄 것일 수도 있다. 실제 시인은 군신 관계를 거론하면서 ‘사람으로 태어나 남의 부인[신하]은 되지 마시라. 백년 고락(苦樂)이 다 남[군주]에게 달렸으니’(‘태항산 산길’)라 비유한 적도 있다. 시에서 규칙적인 물때를 남녀의 애정 심리에 견준 것은 수향(水鄕) 특유의 발상임을 보여준다. 조류의 운행에 대한 확실한 믿음이 있기에 저들은 안정적이고 평온할 삶을 누릴 수 있다. 한데 남자의 마음은 영 딴판이다. 꼭 오마던 언약을 예사로 뒤집으니 종잡을 수 없어 도무지 신뢰가 가지 않는다. 여자는 다르다. 한없이 깊다고 믿는 바다조차 남편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에 비하면 얕을 정도다. 이 사실을 이제야 깨달았으니 남편에 대한 실망감이 더 클 수밖에.

‘낭도사’는 해석하자면 ‘파도에 씻기는 모래펄’쯤 되는데 곡명에 불과하므로 노래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 시에서 낭군의 마음을 조류와 대비한 것으로 보아 ‘파도’와 작으나마 연관은 있다. 사(詞)라는 장르가 막 생성되기 시작한 당 중엽에 만들어진 노래라 그 형식이 기존의 7언시와 별반 다르지 않다. 곡의 형태가 아직은 미성숙했다는 증거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