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주가 김일중 아나운서도 몰랐던 사실” 술깨는 음료보다 ‘물’ 마셔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최근 공개한 유튜브 '마시는 화학'을 통해 막걸리와 맥주로 대표되는 발효주의 모든 것을 화학적 관점에서 쉽고 재미있게 분석했다.
김세희 박사는 "발효주는 보통 효소랑 효모들이 생성하는 물질들이 있는데 이런 불순물들이 제거되지않고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방해한다"면서 "때문에 소주보다 발효주가 더 심각한 숙취를 유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어제 마신 막걸리 때문인지 머리가 지끈거리네요. 숙취해소제를 먹었는데 별 도움이 안되는 것 같네요.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김일중 아나운서)
한국화학연구원은 최근 공개한 유튜브 ‘마시는 화학’을 통해 막걸리와 맥주로 대표되는 발효주의 모든 것을 화학적 관점에서 쉽고 재미있게 분석했다. 이번 영상에는 김일중 아나운서와 한국화학연구원 김영윤, 김세희 박사가 출연했다.
막걸리와 같은 발효주는 왜 더 도수가 높은 소주를 마셨을 때보다 다음날 숙취가 더 심한걸까?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이 바로 숙취의 주범이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간은 알코올을 분해하는데, 이때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이 나온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우리 몸에 독성으로 작용해 숙취를 유발한다.
김세희 박사는 “발효주는 보통 효소랑 효모들이 생성하는 물질들이 있는데 이런 불순물들이 제거되지않고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방해한다”면서 “때문에 소주보다 발효주가 더 심각한 숙취를 유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술 마신 다음날 우리가 자주 찾는 숙취해소제는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걸까? 사실 숙취해소제로 알려진 제품 중 의약품 혹은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된 제품은 없고 모두 일반식품이다. 대부분의 숙취해소제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직접 분해하기보다 분해효소의 활동을 촉진한다. 그래서 분해효소 자체가 적은 사람에게는 사실상 효과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영윤 박사는 “빨리 술을 깨고 싶다면, 숙취해소제보다 물을 많이 마셔서 소변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체내 배출을 늘리는 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알코올을 흡수한 후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와 관련된 현상이다.
김세희 박사는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결과적으로 몸속에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염증반응을 동반해 여러가지 건강에 좋지 않은 부작용들이 일어날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음주를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맥주와 가장 궁합이 맞는 안주는 무엇일까? 맥주는 500mL 한잔에 185kcal 정도로 칼로리가 높은 편인데 우리가 즐겨먹는 치킨은 칼로리가 높기 때문에 가급적 멀리하는 게 좋다고 한다.
김세희 박사는 “맥주 안주로는 육포나 생선포, 비타민 함량이 높은 신선한 과일과 채소가 좋다”며 “육포는 고단백 식품으로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오징어는 타우린이 풍부해 간 해독을 돕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세원, 프로포폴 맞았나?…캄보디아 간호사 “사망 직전, 하얀 액체 주사”
- 조민 한복입고 ‘꽃챌린지’ 한 배경엔…‘총선 출마’ 예고한 황현선 누구길래
- “40억 받던 나영석 PD 퇴사 알고보니” 충격의 적자 사태 발생…위기설 ‘술렁’
- “공짜로 준다고 했더니” 역대급 ‘대이동’ 벌어졌다
- “정명석의 사랑은 선택적 은총”…JMS 침실 첫 공개됐다
- 황철순 “주가조작 가담한 헬스장?...난 주식도 모르는 똥멍청이”
- 이승기, 어린이날 맞아 서울대어린이병원서 공연…“어린이 환자·가족 위로”
- ‘마약 투약 혐의’ 유아인 주변인 4명도 입건…대리처방 정황도
- “지들도 처맞았나”…반성없는 태안 학폭 가해자에 누리꾼들 뿔났다
- 로또 1등 ‘20억 당첨’ 한 달…“지금도 일용직”,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