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명 확진도 대응···신종 감염병 조기경보·감시체계 구축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3년간 코로나19 유행 대응 경험을 토대로 감염병 대비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요.
공청회에서 어떤 내용이 논의됐는지,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새로운 감염병이 등장하는 주기가 갈수록 짧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003년 사스 유행이 끝나고 신종플루가 등장하기까지는 6년이 걸렸지만, 2015년 메르스 유행 종식 후 새로운 감염병, 코로나19가 유행하기까지 4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감염병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사망자 수를 보면, 사스 유행 당시 한 명도 없었고, 신종플루 260명, 메르스 38명이었지만 코로나19 유행 때는 3만 3천여 명이 감염돼 숨졌습니다.
긴장을 늦출 새 없이 다음 팬데믹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정부는 지난 3년간 코로나19에 대응하면서 겪은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한 이번 공청회에서는 새로운 감염병을 미리 인지해 신속히 알릴 수 있는 통합감시체계 구축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웹기반 감염병 사건감시시스템(EIOS)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국외유행 상황을 주시합니다.
국내에서도 감염병 발생 상황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감시체계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건강보험 정보와 인구 이동량, 하수 감시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할 수 있는 감염병 종합지능 플랫폼도 도입할 예정입니다.
녹취> 임숙영 / 질병관리청 감염병위기대응국장
"신·변종 감염병 유행에 대해서 위험평가를 고도화하고 조기경보가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감염병 발생 30일 안에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합니다.
증상기반 다중검사분석법 등 미지의 감염병 진단이 가능한 핵심기술을 확보한 가운데, 병원체 유전자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의료체계는 다음 대유행 때 하루 확진자 100만 명이 발생해도 대응 가능한 수준으로 인프라를 확충합니다.
이렇게 논의된 중장기 계획안은 전문가 의견 반영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확정됩니다.
최종안은 이달 중 국민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지승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