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 묘사 콘텐츠 방영 후 응급실 자해 청소년 급증··· 미디어 영향
자해를 다룬 방송 콘텐츠가 방영된 후 자해 때문에 응급실을 찾은 청소년이 유의미하게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4일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김효원·이태엽, 융합의학과 김남국 교수팀이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청소년 참가자들이 출연하는 한 음악 경연 프로그램에서 자해 관련 내용이 방송된 2018년 3월 전후의 자해 시도 건수를 비교했다. 국가응급환자 진료정보망에 집계된 2015~2018년 응급실 방문 환자 중 자해(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로 인한 환자 11만5647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됐다.
해당 콘텐츠가 방영되기 전인 2018년 2~3월과 같은해 4~12월을 비교하면 차이는 확연하게 드러났다. 10~14세 연령대에서 인구 10만명당 자해로 인한 응급실 방문자 수는 방영 전 0.9명에서 방영 후 3.1명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또 15~19세는 5.7명에서 10.8명으로, 20~24세는 7.3명에서 11.0명으로 각각 늘었다.
인구 10만명당 응급실 방문자 수는 이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지만 2018년에 유독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10~14세에선 2015년 8.1명, 2016년 10.1명, 2017년 14.2명으로 완만하게 늘었으니 2018년 31.1명으로 크게 높아졌다. 15~19세 역시 2015년 63.5명, 2016년 61.7명, 2017년 76.0명에서 2018년 119.0명으로 늘었고, 20~24세는 2015년 75.7명, 2016년 84.8명, 2017년 97.6명에서 2018년 127.1명으로 급증했다.
해당 방송 콘텐츠가 방영된 뒤 청소년들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자해’가 포함된 해시태그를 붙인 게시물들이 급증하는 양상도 나타난 바 있다. 연구진은 프로그램 방송 후 특히 10대 후반 여성과 20대 초반 남성에게서 자해 시도 증가세가 컸고, 자해 방법으로는 신체를 날카로운 도구로 긋거나 약물을 사용한 자해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김효원 교수는 “미디어 속 자해 콘텐츠는 청소년기 아이들에게 ‘자해는 해도 되는 것’ 혹은 ‘자해는 멋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를 보였다”며 “미디어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나도 있다”…‘이재명 대 한동훈’ 구도 흔드는 경쟁자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