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로그]"천의 하나 의사가 못잡은 질병, AI로 잡는다"
글로벌 의료 AI 시장 규모 2025년 362억달러…연평균 성장률 50.2%
의료진 판독 보조 통해 조기 진단 및 치료 효율 제고…현장 반응도 우호적
[편집자주] [바이오로그] 수명 연장은 인류의 오랜 꿈이다. 바이오산업이 각 국가별 신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은 이유다. 의약품 개발·제조에 국한됐던 바이오산업 범위는 이제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등과 조합을 이루는 첨단융·복합 분야까지 보폭을 넓히는 중이다. 머니투데이는 K바이오 대표 주자들의 산업 현장 깊숙이 찾아가 진화 중인 국내 바이오산업의 일지(log)를 기록해본다.
첨단 기술력을 앞세워 전 산업에 고르게 적용 중인 인공지능(AI)과 고도화 된 기술력을 요하는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은 필연적이다. 특히 최근 질병의 관리가 치료 보다 예방에 초점이 맞춰지며, 조기 진단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인간인 의료진이 자칫 놓칠 수 있는 진단을 AI가 보조하는 진단 솔루션은 이같은 흐름에 가장 잘 부합하는 조합이다. 이에 AI 진단 보조 솔루션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전세계 의료 AI 시장 규모는 지난 2018년 21억달러(약 2조8100억원)에서 2025년 362억달러(약 48조4000억원)로 커질 전망이다. 연평균 50.2%에 달하는 성장률이다.
그렇다면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의료인의 체감도는 어떨까. 머니투데이가 만난 최중찬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원장(영상의학과전문의)은 "백의 하나, 천의 하나라도 의사가 잡아내지 못하는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는 비전염성 만성질환과 국민보건의료 시책 상 필요한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을 위한 건강검진과 치료, 조사연구 등을 위해 지난 1964년 창립된 세계보건기구 건강증진병원(WHO-HPH) 회원 기관이다. 취재를 위해 찾은 서울 서부지부는 약 40명의 전문의료진과 200명의 분야별 전문인력을 통한 정밀 검진이 가능하다.
최중찬 원장은 "건강 검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관련 디지털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 가운데 실제 임상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 솔루션들이 도입되는 중"이라며 "아직 더 발전할 필요는 있지만 진단의 질 유지 및 제고, 의료진의 피로도 감소, 환자 만족도 증가 등이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변화"라고 말했다.
AI를 활용한 진단은 말 그대로 '보조' 수단이다. 숙련된 전문의들의 판단을 기반으로 검진과 진단이 이뤄지는 것은 AI 진단 솔루션 도입 전후가 동일하다. 하지만 특이 케이스 진단 어려움 한계와 의료진에게 요구되는 육체·정신적 피로를 경감시켰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이라도 판독이 까다로운 경계성 질환을 감별하는 경우 스스로의 판단을 확신하기 쉽지 않다. AI 솔루션은 이런 상황에서 정확도를 높여줄 수 있어 의료진 뿐 아니라 환자를 위한 안전망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최중찬 원장은 "진단 분야에서 놓친다면 치료 분야 역시 최적의 시기를 놓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 전체라는 큰틀에서 봤을 때도 AI 진단 보조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조기에 진단이 된다면 치료 과정에서도 시기를 앞당기고 추가적인 검사 결정 등에 있어 의료진 판단을 도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대 중이지만 아직 풀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초기 기술인 만큼 기술적 발전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인간이 보지 못하는 영역을 발견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인간은 판단 가능한 변수에 취약한 측면도 가지고 있다. 진단의가 필수적으로 최종 결정을 내려야하는 이유다. 최 원장은 "AI 역시 사람과 같이 완벽하지 않으면서도 사람과 다른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어 아직 기술적으로 더 발전할 필요는 있다"며 "잡아낼 수 있는 질환 종류와 변수를 걸러낼 수 있는 데이터 등이 좀 더 풍부해 지면 현장에서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높은 의료진 호응에도 아직 제도권 내 편입이 되지 않은 점도 풀어야할 과제다. 관련 제품이 비급여 품목으로도 분류되지 않아, 일부 연구용을 제외하면 의료기관이 순수 구입해 현장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도움이 되는 부분을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면 궁극적으로 의료진과 환자 및 보험자에게 큰 효익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보험 구조에서 제도권으로 편입되기까지는 일정 기간 검증이 필요하지만, 중간적 제도로 활성화할 수 있는 보상체계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azoth44@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임창정, 2년전 서장훈에 투자 부탁…"자금난 심각, 재능기부라도" - 머니투데이
- 코드 쿤스트, 비연예인과 5년째 열애?…"사생활 확인 불가" - 머니투데이
- "홍대입구역 출구서 지갑 줍지 마세요"…SNS 경고 글 확산 - 머니투데이
- 타블로 "투컷, 전재산 빌려가서 안갚아"…해체 위기 전말은 - 머니투데이
- "그 시간에 마누라한테 잘해"…장영란, 남편 한창에 일갈한 이유는 - 머니투데이
- 가방속에 젖은 옷 가득…비행기 타려다 체포된 20대 왜? - 머니투데이
- 20만 유튜버의 민낯…13세와 동거, 동물학대 이어 '아내 폭행' 또 입건 - 머니투데이
- 전국 뒤흔든 '363명' 희대의 커닝…수능 샤프의 탄생[뉴스속오늘] - 머니투데이
- 바이든-시진핑 마지막 정상회담…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우려 표명 - 머니투데이
- 송승헌, 신사동 스타벅스 건물 이어 바로 뒤 상가도 보유…시세차익 최소 680억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