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중국 시장 부진에 북미 시장 공략 나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발 리스크로 타격을 입은 국내 화장품 업체들이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의존도가 컸던 중국 시장의 더딘 회복세를 비롯해 중국인들의 자국산 선호 현상 심화 등에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한중관계 악화 등 잠재적 사업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중국과 규모가 비슷한 선진시장으로서 북미의 가치와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
중국 내 사업 부진 등 여파로 올해 1분기 전체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16.9% 감소했지만 북미 사업이 유의미하게 성장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존도가 컸던 중국 시장의 더딘 회복세를 비롯해 중국인들의 자국산 선호 현상 심화 등에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한중관계 악화 등 잠재적 사업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중국과 규모가 비슷한 선진시장으로서 북미의 가치와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적 기준 LG생활건강의 해외사업 가운데 북미지역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1% 늘어난 1361억원이다. 반면 중국(1931억원)과 일본(899억원)에서의 매출은 각각 14.1%, 12.8% 급감했다. 매출 비중도 중국은 14%에서 11%로, 일본은 6%에서 5%로 줄어든 반면 북미는 7%에서 8%로 확대됐다. 중국 내 사업 부진 등 여파로 올해 1분기 전체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16.9% 감소했지만 북미 사업이 유의미하게 성장한 것이다.
LG생활건강은 올해 북미 사업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정애 사장은 1월 신년사에서 북미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업 역량을 최대한 끌어내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해외사업 지역 가운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의 매출은 지난해 1분기 3792억원에서 올해 1분기 2752억원으로 27% 급감했다. 아시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 내 매출이 40% 이상 떨어진 반면 북미 시장 매출은 348억원에서 628억원으로 80% 급증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아시아가 90.3%에서 78.8%로 줄어든 대신 북미는 9.2%에서 18.0%까지 치솟았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아모레퍼시픽은 현지 시장에서 매출을 올리고 있는 라네즈와 설화수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에 힘을 쏟는 한편, 현지 유망 뷰티 업체 인수합병(M&A)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