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와 새 충돌’ 사고, 천적 소리 내고 먹잇감 없애 막습니다[궁금한 공항이야기]

이상호 기자 2023. 5. 4.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매년 200~300건 발생
공항 조류 충돌 예방팀 운영
김포국제공항 조류충돌예방사업소 한 직원이 활주로 주변에서 새 떼를 쫓기 위해 허공에 총을 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 제공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데 비바람보다 위협적인 것은 새다. 새는 작고 약한 동물이지만 비행역사에서 많은 인명 피해를 불러왔다.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운항 중인 항공기 동체에 새가 부딪히거나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조류 충돌’ 사고를 뜻한다. 영화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은 이륙한 비행기가 새 떼에 부닥치며 엔진 2개가 모두 정지돼 뉴욕 허드슨강에 불시착한 실제 사고를 배경으로 한다.

사상 첫 조류 충돌 사고는 라이트 형제가 기록에 남긴 1905년 9월7일에 있었다. 첫 희생자는 1912년 4월 라이트 비행학교 출신 조종사다.

제트비행기 최초 대형사고는 1960년 10월 미국 보스턴 로건 공항을 이륙한 비행기에서 일어났다. 엔진 4개 중 3개가 새 떼에 손상돼 추락했고, 탑승자 72명 가운데 62명이 사망했다.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사고는 2009년 7월 이란에서 발생했다. 승무원 등 탑승자 168명 전원이 사망했다.

비행기는 시속 약 1000㎞ 속도로 날기 때문에 상공에서 작은 물체와 충돌해도 엄청난 충격을 받게 된다. 상공 10㎞에서 순항할 때는 고도가 높아 조류 충돌 위험은 없지만 이륙 직후나 착륙 직전인 지상 2.5㎞ 이하 상공에서는 위험이 따른다.

조류 충돌 사고는 국내에서도 최근 매년 200~300건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는 한 해 1만건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로서는 완벽한 예방법은 없다. 하지만 조종실 전면이나 날개 등 동체가 이 같은 상황에 대비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해 운항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사례는 이젠 거의 없다. 다만 엔진 속으로 빨려 드는 경우가 숙제인데, 항공기 엔진 모두(2~4개)가 손상되지 않는 한 비상비행에 큰 문제는 없다.

어느 공항이든 조류 충돌 예방팀이 운영된다. 그들은 총기나 폭음기, 천적의 소리, 흔들리는 모형 등 다양한 장비로 365일 조류의 움직임을 감시한다.

공항 주변에서 아예 서식하지 못하도록 먹잇감을 퇴치하는 등 새들의 습성을 바탕으로 한 과학적 방법도 사용한다. 새들을 속이기 위해 근무 장소와 장비 운용 시간을 수시로 바꾸는 등 눈치싸움도 치열하다. 김포국제공항 조류충돌예방사업소 이정민 파트장은 “조류의 먹이활동이나 철새 이동은 예측이 어려워 늘 긴장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상호 선임기자 sh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