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가 뽑은 파급력 큰 리스크는? "부동산 침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침체'가 우리나라 경제 위험 요소 중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는 평가가 나왔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가계의 높은 부채 및 상환 부담 증가'(응답빈도 53.9%), '부동산시장 침체'(48.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 인출 가능성'(43.4%) 등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상수지 적자 지속' 언급↑
'부동산 침체'가 우리나라 경제 위험 요소 중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는 평가가 나왔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가계의 높은 부채 및 상환 부담 증가'(응답빈도 53.9%), '부동산시장 침체'(48.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 인출 가능성'(43.4%) 등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부동산시장 침체는 응답빈도가 직전 조사(지난해 11월) 대비 12.6%포인트 증가했다. 그만큼 체감 위험이 높아졌다는 뜻이다. "상대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높고, 파급력도 클 것"이란 평가와 함께, 가장 많은 전문가(응답자의 18.4%)들이 '1순위 위기 요인'으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저축은행, 상호금융, 중·소형 금융사, 캐피털사 등 비은행업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취약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최근 원화 약세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경상수지 적자 지속'은 이번 조사에서 응답률 31.6%를 얻으며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부상했다. 경상수지 적자 지속은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지만, 발생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다"는 평가다. 은행 위기가 우리나라에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봤지만, 한 번 발생하면 파급력은 가장 클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경제 위험 요인들이 1년 내 발생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었다(58.3%→36.8%)고 판단했다. "1~3년 사이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답변도 직전 조사에 비해 소폭 하락(40.3%→34.2%)했다. 반대로 향후 3년간 우리나라 금융 신뢰도(42%)는 직전 조사(36.1%)에 비해 다소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5~17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경제전문가 76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윤주영 기자 roza@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프랑스 외교장관은 왜 굳이 군함을 타고 한국에 왔을까[문지방]
- 메스 들고 정맥 도려낸 '김 선생'…정체는 간호사였다
- 윤박, 9월 장가간다... 예비 신부는 6세 연하 모델
- "임신중인데 너무 배고파서"...외상 부탁한 미혼모 채용한 분식점 사장님
- 엠폭스 국내 환자 96%가 남성, 대부분 익명 인물과 성접촉
- "박은빈, 시상식에서 엉엉"…김갑수 발언에 갑론을박
- 한국서 침 묻은 꼬치로 판매 음식 푹푹 찌른 일본인 뭇매
- 최저가 노트북 업체의 몰락… 뒤엔 G마켓·경쟁사 '갑질 동맹'
- 조사보다 회견이 목적... 되짚어본 송영길의 '셀프 출두' [사진잇슈]
- 승강기 갇힌 주민 구한 관리인, 짐 꺼내다 추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