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기초과학 신진연구자 지원…'램프 사업' 도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육부가 기초과학 박사후연구원(포닥·Post-Doc)의 지방대 유입과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5년간 국고를 투입한다.
과제를 수행하는 경력 7년 이내의 신진교수는 연간 최대 15억원의 국고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기존 신진연구자 지원사업들은 개인 과제를 중심으로 지원해 왔지만, 램프 사업은 다수 연구자의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소의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교육부, 기본계획 발표…10월부터 5년간 운영
경력 7년 이내 신진교수, 최대 15억 운영 가능
대학 8곳 선정할 계획…"6곳은 비수도권 선정"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교육부가 기초과학 박사후연구원(포닥·Post-Doc)의 지방대 유입과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5년간 국고를 투입한다.
과제를 수행하는 경력 7년 이내의 신진교수는 연간 최대 15억원의 국고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의 '램프(LAMP ,Learning &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 사업 기본계획'을 4일 발표하고 오는 10월부터 5년간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사업 도입 취지는 박사 과정을 이수한 기초과학 분야 연구자가 지방대학에 정착하고, 지방대가 기초과학 연구소를 관리, 육성할 역량을 기르는 데 있다.
기존 신진연구자 지원사업들은 개인 과제를 중심으로 지원해 왔지만, 램프 사업은 다수 연구자의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소의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소를 육성하던 그간의 다른 사업은 중견연구자가 이끌어 가는 구조였으나, 이 사업은 신진연구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해 지방대에서 안정감을 갖고 경력을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국고 연구비는 개인 연구책임자가 아닌 대학 본부에 마련된 사업단에 지급하고, 사업단에 다수의 기초과학 분야 연구소가 소속돼 독립적으로 연구를 한다.
사업단은 연구처장 등 보직교수가 단장을 맡되 연구소 소속 연구자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전담 인력 1명을 배치, 연구소들의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또 연구소의 수행 현황과 논문 수, 상위저널 게재 등 실적을 관리하고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해 지도교수를 물색하는 대학원생 등이 알 수 있도록 한다.
사업에 지원하려는 대학은 ▲수리·통계 ▲원자 ▲천체·입자·우주 ▲분자수준 ▲나노단위 ▲물질·에너지 ▲DNA·RNA 분자생물학 ▲진화·종의 다양성 ▲지구·해양·대기 ▲뇌·신경과학·기초의학 등 10개 분야 중 하나를 택해 '중점 테마 연구소'를 운영한다.
램프 사업단은 소속 연구소 중 한 곳을 중점 테마 연구소로 지정해야 하고, 중점 테마 연구소는 다시 세부 연구과제를 소속 '램프 전임교원'에 맡긴다.
램프 전임교원은 해당 대학에 임용된 지 7년 이내인 교수로 전체 80%를 기초과학 전공자로 구성해야 한다. 램프 전임교원들은 연구소 안에서 미래의 인류 난제 해결을 위한 기초과학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램프 전임교원의 지도 하에 개별 연구를 수행하게 될 '램프 포닥'도 선발, 배정한다. 램프 전임교원 당 최소 1명 이상을 배정해야 하며, 우리 국민이면서 박사학위를 딴 지 7년 이내 또는 만 40세 미만인 자다.
사업단은 램프 포닥 등에 대한 선발계획을 세우고 공개모집 절차를 거쳐 전국적으로 기초과학 분야 우수 박사학위 취득자를 선발해야 한다.
대학은 램프 포닥에게 개별 연구책임자로서 독립적 지위를 보장하는 한편 일자리, 생활, 복지 등 지원 방안을 마련해 지원해야 한다.
램프 연구소가 맡는 연구과제는 수행 기간에 따라 대규모(5~10년), 중규모(3~5년), 소규모(1~3년)으로 나뉜다. 만약 신진연구자가 대규모 과제를 맡게 될 경우 연간 최대 15억원의 국고 연구비를 운영한다.
1차년도는 올해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운영하며 대학 8곳을 선발해 총 160억원(대학당 평균 20억원)을 지원한다. 2차년도 이후의 사업비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대학당 평균 30억원을 배정한다는 방침이다.
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을 제외한 일반대학으로, 교육부는 8곳 중 6곳을 지방대로 선정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오는 6월 예비 접수를 거쳐 7월 사업계획서를 제출 받을 계획이다. 이어 8~9월 발표가 포함된 선정평가를 거쳐 10월 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대학은 선택한 기초과학 분야에 맞는 ‘전략적 공동연구 포트폴리오(전체 과제수행계획)’를 자율적으로 구성해 제출해야 하며, 각 대학의 과제 기간과 구체적인 지원 규모는 선정평가를 거쳐 정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효리, 스타킹만 신고 과감한 팬츠리스 룩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제왕절개 출산 후 고열로 응급실行"
- "성매매 중독 남편, 불륜 들키자 칼부림 협박…생활비도 끊어"
- "옥경이 치매 멈춰"…태진아, 5년 간병 끝 희소식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김정민 "月 보험료만 600만원…형편 빠듯"
- 19년 만에 링 오른 타이슨, 31세 연하 복서에게 판정패
- 흉기 찔려 숨진 채 발견된 40대 주부…잔혹한 범인 정체는
- 홍진호, 기흉수술 후 아빠 됐다…"콩콩이도 잘 나와"
- 곽튜브, 이나은 논란 마음고생 심했나 "핼쑥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