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아미타여래구존도'등 4건 보물 예고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문화재청은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을 비롯해 '근묵', '아미타여래구존도',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3일 밝혔다.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조선왕조 의례에 사용된 인장과 문서다. 해당 인물 생전에는 궁궐에 보관했다가 사후 신주와 함께 종묘에 모셔져 관리됐다.
어보는 국왕・왕세자・왕세제・왕세손과 배우자를 해당 지위에 임명하는 책봉 때나 국왕・왕비・상왕・왕대비・대왕대비에게 존호, 시호, 묘호, 휘호를 올릴 때 제작한 의례용 인장이다.
어책은 어보와 함께 내려지는 책으로 의례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신분과 재질에 따라 어보는 금보・옥보・은인으로, 어책은 옥책・죽책・금책으로 구별했다.
교명은 왕비・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을 책봉할 때 내리는 훈유문서(訓諭文書)다. 그 지위의 존귀함을 강조하며, 책임을 다할 것을 훈계하고 깨우쳐주는 내용이 담겼다.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종묘 신실에 봉안되어 전승됐다. 조선왕실 종묘는 정전 19실과 영녕전 16실로 구성됐다. 각 신실 가운데 있는 신주장에 신주가, 양쪽에 있는 보장과 책장에 어보・어책・교명이 봉안됐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어보 318과, 어책 290첩, 교명 29축 총 637점이다. 국왕이 되지 못한 왕세자와 국왕을 낳은 후궁 등 종묘에 봉안되지 못한 인물은 제외됐다.
문화재청은 지정기준에 대해 "제작 시기 하한은 1910년까지로 하고 제작 주체는 조선왕실 및 대한제국 황실이며, 일제강점기 제작된 것은 지정 대상에서 제외했다"며 '인물 범위는 종묘 정전 19실과 영녕전 16실에 봉안된 국왕과 왕비가 수여받은 어보, 어책, 교명만을 대상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는 "세계사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독특한 왕실문화를 상징하는 유물로서 500여 년간 거행된 조선 왕실 의례의 통시성과 역사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근묵'은 저명한 근대 서예가이자 서화 감식가 오세창(1864~1953)이 1943년 80세에 엮은 서첩이다. 가문의 8대에 걸친 수집품 토대에 오세창의 감식안이 더해진 결과물이다.
정몽주(1337~1392)부터 이도영(1884~1933)까지 600여 년간 1136명의 필적 등 국내 최대 분량이 수록됐다. 첩장본의 서첩 34책과 선장본의 목록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첩 34책은 필적 크기에 따라 양면 또는 단면에 1점씩 수록했고, 오른쪽 첨지에는 이를 쓴 사람 이름과 생몰연대가 적혀있다.
서첩 제1책 표지에는 전서로 쓴 '근묵(槿墨)'이란 제목에 '팔십위(八十葦)'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목록 1책에는 글씨를 쓴 사람 성명・자호・향관・시대・직업・계통 등이 기록됐다.
수록된 필적의 시대적 분포가 고려 말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쓴 사람 신분도 국왕에서 중인, 승려까지 그 범위가 넓다.
수록된 필적 문체와 내용도 한문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고, 특히 사회 경제적 상황을 잘 담고 있는 서간문의 비중이 압도적이어서 당시 사회상・생활상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역대 명필들의 필적이 빠짐없이 수록돼 있어 각 시기에 유행하던 서풍 및 그 변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서예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라며 "현존 서첩 가운데 양과 질 양면에서 가장 우수한 서첩이라고 평가되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아미타여래구존도'는 1565년이란 제작연대가 정확한 조선 전기 불화다. 화기에 조성연대, 화제, 시주질이 기록돼있다.
조선 전기 아미타여래구존도는 6점이 현존한다. 이중 이 불화는 국내 작품 중 유일하게 제작연도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채색 불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삼베 바탕에 주존인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비롯한 팔대보살이 좌우 대칭된 모습으로 표현되는 고려 후기 불화의 요소가 남아 있다.
주존을 중심으로 보살을 에워싸는 배치, 여래와 보살의 형상과 묘사, 필선의 사용과 문양을 배제한 색 중심의 채색법에서 조선 전기 불화의 새로운 요소, 특히 16세기 불화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본존 머리와 몸을 둘러싼 원형 광배 형식, 둥글고 넓적한 육계와 반달형 중간계주의 표현, 문양이 생략된 채색 등 조선 전기 불화 양식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불화 형식과 양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자, 1565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어 조선 전기 불화 연구에 절대적 기준이 되는 자료로서 중대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며 "조선 전기 불화는 대부분 국외에 있고, 국내에 현존하는 작품은 그 사례가 드물어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평했다.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수조각승 계찬을 비롯해 인계, 영언 등 조각승 7명이 1657년 완성해 동화사 대웅전에 봉안한 삼불상이다.
세 불상의 복장에서 각각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조성연대, 제작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불상 제작에 필요한 상세한 시주물목이 기록돼 조각승 협업과 분업, 불상 제작에 필요한 물목과 공정 이해에 참고가 된다는 점에서 큰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조성발원문 외에 각 불상 대좌 상판에도 대동소이한 조성기가 묵서로 기록돼 조성기 내용과 교차 검토가 가능하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이다.
수조각승 계찬은 1643~1671년 활동사항이 알려진 17세기 중엽 대표 조각승이다. 수조각승으로 성장하기 전, 응혜와 승일 등 당시 대표 조각승의 작업 현장에서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성장했다. 이 작품은 계찬이 수조각승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사례다.
직사각형 평면을 가진 탁자(卓子) 형태 수미단에 가운데 석가여래 본존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가 모셔져 있다. 석가여래는 양 옆 약사여래・아미타여래보다 크게 조성됐고 항마촉지인을 결한 전형적인 석가모니 도상이다.
수조각승 계찬에게 영향을 준 스승이나 선배 조각승의 작품보다 간략화되고 단순화된 표현 양상을 보인다. 17세기 중반을 넘어서며 나타나는 전반적인 단순화 경향은 조선 후기 불상 양식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흐름의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환기의 작품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문화재청은 "제작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조성발원문 등의 기록 자료가 존재한다는 점, 제작 당시 모습대로 원래 봉안 장소에서 온전히 전해져 오고 있다는 점, 계찬이 수조각승으로 참여한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 조선 후기 불상 양식의 중요한 전환기에 위치한 작품이란 점에서 보물로 지정해 연구하고 보존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했다.
문화재청은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근묵' 등 4건에 대해 30일간 예고 기간 중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효리, 스타킹만 신고 과감한 팬츠리스 룩
- 송승헌, 신사역 스타벅스 건물주에 이어…최소 678억 시세차익
- '박연수와 양육비 갈등' 송종국, 캐나다 이민? "영주권 나왔다"
- '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딸 최초 공개…"난 행운아"
- 허윤정 "전남편 강남 업소 사장…수백억 날리고 이혼"
- "옥경이 치매 멈춰"…태진아, 5년 간병 끝 희소식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제왕절개 출산 후 고열로 응급실行"
- "성매매 중독 남편, 불륜 들키자 칼부림 협박…생활비도 끊어"
- '정답소녀' 김수정, '동덕여대 공학 반대 서명' 동참 "모자란 남자…"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