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열풍에 용광로보다 뜨거워진 포스코
배터리 소재·원재료 내재화…2030년 매출 41조 목표
10년 뚝심 투자 빛 본다…“이젠 미래 소재 기업”
[비즈니스 포커스]
포스코가 최근 주식 시장에서 용광로보다 더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대형주 가운데 만년 저평가 기업의 꼬리표를 달고 있던 포스코가 2차전지를 비롯한 미래 소재 기업으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면서 2차전지 핵심 기업으로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2차전지 열풍으로 주목받으면서 포스코그룹 6개 상장사의 전체 시가 총액이 연초 대비 41조9388억원에서 71조5991억원으로 70.73%(29조6603억원) 급증해 카카오그룹도 제쳤다.
기업 가치를 끌어올린 것은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와 2차전지 소재 계열사 포스코퓨처엠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양·음극재, 전구체 사업에서 이미 안정적 궤도에 올라탔고 포스코홀딩스는 지주회사로서 중·장기 전략과 투자 차원으로 추진되는 광물 자원과 원료, 차세대 전지 소재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배터리 소재로 성장 궤도…재계 5위 탈환
포스코홀딩스는 4월 26일 기준 31조4182억원으로 시가 총액 10위에 입성했고 포스코퓨처엠은 25조7565억원으로 12위에 안착했다. 주가도 급등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연초 27만1500원에서 37만1500원으로 36.83%, 포스코퓨처엠은 19만1500원에서 33만2500원으로 73.63% 각각 올랐다.
포스코는 2022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기존 철강 중심 이미지에서 탈피해 2차전지 소재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미래 소재 그룹으로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2차전지 소재 분야를 철강의 뒤를 잇는 강력한 성장 엔진으로 낙점하고 2차전지 원료부터 소재까지 공급망 밸류 체인 내재화에 주력해 왔다.
2차전지 성장 엔진을 단 포스코의 성장세에 재계도 주목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등 계열사의 2차전지 사업 호조로 자산이 급증하면서 13년 만에 롯데를 제치고 재계 5위를 탈환했다. 포스코의 자산 총액은 2022년 96조3490억원에서 2023년 132조660억원으로 35조원 넘게 증가했다.
LS가 버린 음극재, 10년간 캐시카우로 키워
포스코그룹은 현재 아르헨티나와 호주에서 리튬을, 뉴칼레도니아·호주·인도네시아에선 니켈을 조달해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해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글로벌 배터리 업체에 공급 중이다.
포스코홀딩스를 중심으로 리튬·니켈·흑연 등 2차전지 소재 원료부터 전구체·양극재·음극재·차세대 배터리 소재까지 생산, 공급하는 밸류 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2030년까지 양극재 61만 톤, 음극재 32만 톤, 리튬 30만 톤, 니켈 22만 톤 생산·판매 체제를 구축하고 2차전지 소재 사업에서만 매출액 41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포스코의 2차전지 사업의 역사는 정준양 회장 재임 시절인 2010년으로 거슬러올라간다. 포스코퓨처엠의 전신인 포스코켐텍이 2010년 LS엠트론으로부터 음극재 사업부인 카보닉스를 65억원에 인수한 것이 2차전지 소재 사업의 시작이었다.
2019년 포스코켐텍과 양극재 회사인 포스코ESM을 통합하면서 한국에서 유일하게 2차전지의 핵심 원료인 양·음극재를 모두 생산하는 포스코케미칼이 출범하게 됐다. 포스코케미칼은 2023년 3월 ‘미래 소재 기업’이라는 정체성을 담은 새로운 사명인 포스코퓨처엠으로 바뀌었다.
2차전지 사업이 성장 궤도에 오르기까지는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카보닉스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했지만 LS엠트론에서는 매년 적자를 면치 못하는 ‘아픈 손가락’이었다.
당시에도 전기차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왔지만 본격적으로 개화하지 않았던 때였다. 2009년 LS엠트론이 24억원을 투입했지만 매출 4억5500만원에 영업 손실이 16억6000만원에 달할 정도였다.
10년 넘게 이어진 포스코의 선제적 투자는 최근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의미 있는 과실을 맺고 있다. 과거 정준양 회장 때부터 시작된 2차전지 소재 사업이 지속 투자를 거쳐 최정우 회장에 이르러 실적 성장의 본궤도에 오르면서 10년 투자가 이제야 결실을 보게 된 셈이다. 심지어 전기차·배터리 시장은 아직 성장 여지가 많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한국·아르헨·호주 ‘삼각 생산체제’…리튬 年 30만 톤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아르헨티나 살타 주의 옴브레무에르토 염호를 인수하며 한국 기업 중 최초로 아르헨티나 리튬 상업화에 나섰다. 서울 여의도(840ha)의 약 30배에 달하는 2만5500ha 면적에 달하는 염호를 통해 2차전지 원재료인 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염호 인근에선 양극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 생산 공장을 연산 2만5000톤 규모로 건설하고 있다. 호주 필바라의 리튬 광산 지분도 인수해 광석리튬의 안정적인 수급 체계도 구축했다. 포스코는 한국과 아르헨티나·호주에서 2030년까지 글로벌 리튬 생산량 30만 톤 체제를 완성시킨다는 계획이다.
미국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을 점토에서 직접 캐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의 광물 탐사 전문 기업 진달리리소스(JLR)와 협업을 통해서다. 전기차 원가의 40% 정도를 차지해 ‘하얀 석유’로 불리는 리튬을 점토에서 추출을 시도하는 것은 처음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 수혜주로도 손꼽히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니켈·코발트·리튬부터 전구체와 양·음극재까지 모두 중국을 배제하고 내재화가 가능해서다.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산 원자재 배제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는 지금, 포스코의 공급망 선점 전략이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는 평가다.
2023년 3월 말 발표된 IRA 세부 지침에 따르면 니켈·리튬 등 배터리 핵심 광물을 인도네시아·아르헨티나 등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조달하더라도 한국에서 50% 이상 부가 가치를 더하는 형태로 가공하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 포스코의 수혜가 예상된다.
안회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포스코홀딩스의 광물·원료 사업 중 IRA 핵심 광물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광석형 리튬, 염호형 리튬 2단계와 니켈 프로젝트”라며 “염호형 리튬 1단계는 현재 해당되지 않지만 앞으로 아르헨티나가 미국과 협정을 맺으면 충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중국을 거친 원료가 세액 공제에서 제외되는지가 추가 관건”이라면서 “니켈은 요건을 충족하는 밸류 체인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포스코홀딩스의 니켈 사업이 앞으로 더욱 돋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포스코퓨처엠이 양·음극재를 주로 제공하는 제너럴모터스(GM)의 대표 전기차 모델들이 모두 IRA 세부 지침에 따라 7500달러의 보조금을 받게 되면서 포스코퓨처엠의 수혜 기대감도 더 커지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IRA 시행 이후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과 각각 30조원, 40조원 규모의 양극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