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연체율에…금융사들 '역대급' 충당금 쌓는다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경기 악화와 고금리 등에 따른 대출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사들이 충당금을 대거 쌓으며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4대 금융지주는 올 1분기 역대 최대 규모로 충당금을 쌓았다.
KB금융이 1분기 6682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전입하며 가장 많이 쌓았다. 이는 지난해 1분기 1439억원보다 358.3% 급증한 규모다. 신한금융도 지난해 1분기 2434억원보다 89.4% 늘어난 4610억원을 전입했다. 하나금융의 1분기 대손충당금 등 전입액은 3432억원으로 전년 동기(1646억원)대비 108.5%를 더 쌓았다. 우리금융도 대손충당금 등으로 1분기 2614억원을 전입했다.
이처럼 은행권이 충당금을 대폭 확대하는 이유는 경기 악화로 인한 금융 부실에 대비해 충당금 규모를 확대하라는 금융당국의 주문에 따른 것이다. 신용회복위원회(신복위)에 따르면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취약차주가 1분기 4만6067명에 달해 1년 전 보다 4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연체율도 최근 오르는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36%로 전월말(0.31%)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국내은행의 연체율은 코로나19 확산에도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해 왔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꿈틀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 전월대비 0.06%포인트 올라 상승 전환한데 이어, 2월 말에도 뛰어오르며 지난 2020년 8월(0.3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도 연체율이 크게 뛰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5.1%로 지난해 말(3.4%) 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 추이를 보면 2016년 말 5.8%, 2018년 말 4.3%, 2020년 말 3.3%로 하락하다가 지난해 말 3.4%로 상승한 뒤 올 들어 급등하는 모습이다.
아울러 올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순손실(잠정)은 약 6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저축은행이 적자를 내는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으로, 순손실이 예상되는 저축은행은 약 25개로 자산규모가 큰 대형사도 포함됐다.
카드사들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금감원이 지난달 3일 발표한 지난해 '여전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148개 국내 여전사의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1.25%로 전년 말 대비 0.39%포인트 상승했다. 여전사 연체율은 2019년말 1.68%, 2020년말 1.26%, 2021년말 0.86%로 점차 줄어들었지만 지난해 말 증가세로 반전했다. 이들 여전사의 당기순이익은 3조4067억원으로 전년(4조4562억원) 대비 23.6%(1조495억원) 줄었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토스 등 빅테크 3사가 제공하는 '후불결제 대출서비스(BNPL)'의 연체율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카카오·토스의 올 1분기 기준 BNPL 연체채권 규모는 총 19억3790만원으로 연체율은 4.4%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1% 수준인 신용카드의 연체율과 비교하면 BNPL의 연체율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금융권 안팎에서는 지난 3년간 이어진 코로나 대출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오는 9월 이후 연체율이 더욱 치솟기 시작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들은 다가오는 부실을 막기 위해 앞으로도 충당금 추가 적립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방동권 신한금융 부사장(CRO)은 최근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연체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도 하반기에 더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며 "충당금을 조금 더 보수적으로 쌓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장근 우리금융 리스크관리부문(CRO) 상무도 컨퍼펀스콜에서 "감독당국에서 충당금을 충분히 쌓으란 요구가 있었고 적극 대응했다"며 "지금 쌓인 충당금은 개별 평가 부문을 선반영한 상태로 하반기 추가 요구가 있으면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중앙회도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을 위해 고위험대출을 축소했고,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법정기준 100%를 초과해 적립하는 등 선제적인 대비에 나선 상태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리스크연구센터장은 "특히 고금리 제2금융권 다중채무가 빠르게 증가하며 차주의 소비여력을 위축시키고 상환부담을 높이고 있는데, 감내 수준을 넘길 경우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이러한 잠재부실위험이 현재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금융기관은 자본 및 대손충당금 등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아직 관리가능한 수준"이라면서도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확대 외에도 지연되고 있는 부실채권 매각과 상각 절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2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시스템 리스크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중심으로 보면 일부 지표의 악화에도 저축은행과 관련 특정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다만 연체율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것은 신규 연체 발생 부분도 있지만, 보유하고 있는 상각 대상 자산의 매각, 상각 절차가 지연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 금융기관들이 부담을 떨어낼 방법이 있는지 금융회사 및 협회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anna224@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효리, 스타킹만 신고 과감한 팬츠리스 룩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제왕절개 출산 후 고열로 응급실行"
- "성매매 중독 남편, 불륜 들키자 칼부림 협박…생활비도 끊어"
- "옥경이 치매 멈춰"…태진아, 5년 간병 끝 희소식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김정민 "月 보험료만 600만원…형편 빠듯"
- 19년 만에 링 오른 타이슨, 31세 연하 복서에게 판정패
- 흉기 찔려 숨진 채 발견된 40대 주부…잔혹한 범인 정체는
- 홍진호, 기흉수술 후 아빠 됐다…"콩콩이도 잘 나와"
- 곽튜브, 이나은 논란 마음고생 심했나 "핼쑥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