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피해’ 아파트 경비원 사망 50일…“하나도 안 바뀌었다”

강은 기자 2023. 5. 2. 21: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 대치동 아파트 경비원들 ‘끝나지 않은 절규’
“계속 싸우겠다” 지난 3월14일 서울 대치동의 한 아파트에서 경비노동자가 ‘갑질’ 피해를 호소한 후 극단적 선택을 한 지 50일째인 2일 해당 아파트의 관리사무소 앞에서 경비대장으로 근무했던 이모씨가 ‘부당해고’를 규탄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건 공론화를 주도한 이모 경비대장은 최근 계약 만료를 통보받았다. 서성일 선임기자
‘쪼개기 계약’ 그대로…“관리소장·입주자대표 횡포 여전”
‘표적 해고’ 내몰린 경비대장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들”

“고인이 된 경비원의 뜻은 잊혔습니다. 변화된 것은 아직 아무것도 없습니다. 경비원들은 여전히 3개월짜리 계약서에 서명할 수밖에 없습니다.”

2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 앞. 이 아파트에서 경비대장으로 근무했던 이모씨는 경향신문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씨는 지난 3월 말 경비용역업체로부터 계약종료 통보를 받은 뒤 이 아파트에서 매일 ‘출근 투쟁’을 벌이고 있다. 70대 경비원 박모씨가 지난 3월14일 ‘갑질 피해’를 호소하며 투신해 사망한 바로 그 아파트다.

박씨가 ‘관리소장에게 갑질을 당했다’는 호소문을 남기고 사망한 지 이날로 50일째다. 박씨의 죽음 직후 주목받았던 이 아파트 사건은 이제 여론의 관심에서 밀려났지만 동료 경비원들은 여전히 같은 자리에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기자와 만난 경비원과 주민들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박씨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지목된 관리소장 A씨는 여전히 아파트 사무실로 출근한다. 5년째 이곳에서 일해온 경비원 홍모씨(69)는 “(사건 발생 초기에는) 관리소장이 출근을 안 해 그만둔 줄 알았다”면서 “알고 보니 3주간 휴가를 다녀왔던 것”이라고 했다. 이씨도 “사람이 죽었는데 이렇게까지 오래 버틸 줄 몰랐다”면서 “부끄러운 줄 모르는 행동”이라고 했다.

이날 경향신문은 A씨를 만나기 위해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찾았으나 그는 답변을 피하며 “묻지 말라”고만 했다.

‘관리소장 퇴진’을 외쳤던 이씨가 도리어 일터에서 밀려났다. 그는 지난 3월 말 ‘근로계약 종료’ 통보를 받았다. 이씨는 “(사건 공론화에) 앞장섰다는 이유로 일종의 ‘표적 해고’를 당한 것”이라며 “동료가 그렇게 죽었는데 어떻게 그만할 수 있나. 관리소장이 물러날 때까지 싸울 것”이라고 했다. 이씨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근로계약 갱신 거절의 합리적 사유가 없다”는 내용으로 ‘부당해고 구제’ 신청서를 제출했다. 얼마전에는 생계유지를 위해 실업급여도 신청했다.

경비원들을 고용 불안에 시달리게 만드는 ‘쪼개기 계약’도 여전하다. 사건 당시 이 아파트 경비원들의 근로계약서가 공개되면서 이들이 3개월짜리 단기 계약을 맺은 사실이 알려졌다. 계약 기간이 짧으면 이씨처럼 ‘사실상 해고’에 몰려도 문제를 제기하기 힘들다. 사측이 “계약 기간 종료”라고 하면 대응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투신 사건 이후 경비원들은 용역업체 측에 계약 기간을 ‘1년 단위’로 늘려달라고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지난 4월 시작된 근로계약은 다음달이면 만료된다. 계약 방식 등에 불만을 품고 최근 이 아파트를 떠난 경비원도 10명이 넘는다. 경비원 최모씨(74)는 “먹고살려면 다니던 곳을 계속 다닐 수밖에 없다”면서 “우리로서는 주어진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홍씨도 “나이 든 사람들은 가뜩이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힘든데 우리가 어딜 가겠나”라며 “3개월 계약을 하든지, 나가든지 양자택일에 몰려 있다”고 했다.

입주민 간 갈등의 골도 깊어지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입주자 700여명(약 70%)의 서명을 받아 아파트 위탁관리업체에 “비극적 사고에 대해 업체가 사과하고 (관리소장을) 즉각 해임하라”고 내용증명을 보냈다. 또 100여명(10%) 주민의 동의를 받아 입주자대표회의(입대의) 회장에 대한 해임 요청서를 아파트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했다. 주민 A씨는 “입대의 회장의 직무가 정지되자 입대의 측은 선관위 전원 해촉으로 맞서고 있다”면서 “입대의가 관리소장과 한몸으로 움직이면서 횡포를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경비원 투신 사건을 아직 수사 중이다. 서울 수서경찰서 관계자는 “경비원 수십명을 비롯해 다수의 참고인 진술을 받았으나 아직 위법행위를 찾지 못한 상황”이라며 “유족 측으로부터 고소장이 접수된 바는 없다”고 했다. 노동부 강남지청 관계자는 “직장 내 괴롭힘과 불법 파견 여부를 살폈으나 법리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어 추가 검토 중”이라고 했다.

강은 기자 ee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