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짭짤한데 인기는 씁쓸하네…투자자 외면받는 이것은

원호섭 기자(wonc@mk.co.kr) 2023. 5. 1. 21: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유럽펀드 10%대 수익률
성과 좋지만 투자자 시큰둥
설정액 작년부터 계속 줄어
저성장 국가 인식 발목 잡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달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도쿄 이승환 기자>
일본과 유럽 펀드 수익률이 지난해 이후 꾸준히 10%대를 유지하며 변동 장에서 선방하고 있다. 다만 설정액은 지난해부터 줄어들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에서는 멀어지는 모양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변동 장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과 유럽처럼 수익률이 견고한 지역의 투자를 고려해볼 만한 시점이라는 조언이 나온다.

1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국내 설정액 10억원 이상의 일본·유럽 펀드 수익률은 각각 13.53%, 11.54%를 기록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가 구분한 지역별 펀드 중 연초 이후 수익률 부분에 있어서 북미(18.13%)에 이어 나란히 2, 3위에 올랐다. 일본과 유럽 펀드 수익률은 다른 국가 펀드 수익률을 압도한다. 신흥국으로 뜨고 있는 베트남과 인도가 각각 5.4%, 2%에 머무르고 있으며 올해 들어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른 리오프닝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중국 펀드도 수익률은 -0.47%에 불과했다.

펀드 구분을 해외 주식형으로 구체화해도 일본과 유럽 펀드의 수익률은 단연 돋보인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국내 31개의 일본 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연초 이후 13.5%, 유럽 주식형 펀드 수익률도 11.6%로 북미 주식(17.7%)에 이어 2~3위를 차지했다. 인도와 베트남, 브라질, 중국의 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모두 6% 미만에서 머무르고 있다.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양호하게 이어지고 있다. 범유럽지수인 ‘유로스탁스50’ 지수를 추종하는 ‘KBSTAR 유로스탁스50(H)’와 ‘TIGER유로스탁스50(합성H)’는 연초 이후 16%에 달하는 수익률을 보였으며 ‘ACE 일본Nikkei225(H)’ 10.4%, ‘TIGER 일본TOPIX (합성 H)’8.74% 등을 기록 중이다.

유럽과 인도 펀드의 견고한 수익률은 지난해 10월 이후부터 이어지고 있다. 유로스탁스50 지수의 경우 지난해 9월 3279로 최저점을 찍은 후 27일 현재 4354를 기록하며 32.8%나 올랐다. 유럽 증시 활황의 배경으로는 겨울철 이상 고온 현상에 따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불러온 에너지 부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됐고 금리 인상에 민감한 성장주보다는 소비재와 금융주 등 가치주 비중이 높은 유럽 시장의 특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퍼스트리퍼블릭뱅크의 예금 이탈에 따른 은행 부문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27일 유럽 은행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와 함께 불안감은 잦아드는 분위기다.

일본 닛케이 지수는 지난해 9월 2만5937을 기록한 뒤 3개월 동안 10%가량 오른 후 하락했다가 1월 이후 현재까지 다시 10%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내림세로 접어든 상황에서 엔화 가치가 떨어지자 안전마진이 확보됐다는 판단에 투자심리가 완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역대급 엔저 현상에 따라 일본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작용했다.

이도선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매니저는 “일본의 2월 소매판매 지표와 3월 소비자신뢰지수 등을 보면 일본 내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미국, 유럽 등 주요국 대비 낮은 인플레이션과 주식시장의 저평가, 일본중앙은행(JOB) 신임 총재의 정책 변경 기대감 등이 일본 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이어가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6개월가량의 견고한 수익률 속에서도 펀드 설정액은 꾸준히 축소되는 추세다. 유럽과 일본 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10월 기준 각각 3046억원, 3211억원이었는데 현재 2558억원과 3051억원으로 줄었다. 반면에 그동안 수익률이 저조한 인도와 중국 베트남 펀드 설정액은 오히려 늘어났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일본 유럽에 대한 인식이 투자심리 저하로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일본은 ‘저성장’ ‘초고령화’ 국가라는 이미지가 강한 만큼 섣불리 투자에 나서기 쉽지 않다. 유럽도 미국처럼 ‘우상향’ 하는 국가라는 인식이 적을 뿐 아니라 그리스, 이탈리아 등 경제위기에 처했던 국가들이 유로존 전체에 미치는 영향도 큰 만큼 국내 투자심리는 낮은 편이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인도와 유럽 펀드는 지난해 글로벌 하락장에서 피난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며 “변동 장이 이어질 때는 신흥국 외에 유럽과 일본과 같은 곳의 상황을 잘 살펴 투자하는 것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