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성범죄물 3분 만에 ‘순삭’하는 AI 기술···“피해자들 용기 덕에 개발했죠”[인터뷰]
디지털성범죄물은 잡초처럼 끈질기다. 계속 찾아내고 지워도 어디선가 또 생겨나 피해자를 고통으로 지치게 한다. 피해자를 돕기 위해 영상을 찾아내야 하는 지원관들에게도 트라우마를 안긴다.
‘디지털성범죄물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검출해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달라.’
서울시 의뢰를 받은 서울기술연구원이 지난해 8월 연구에 착수했고, 8개월 만에 기술이 세상에 나왔다. 1~2시간 걸리던 일이 3분 안팎까지 짧아졌다. 정확도는 2배 올랐다. ‘디지털성범죄물 잡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한 김준철 서울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을 지난달 18일 만났다.
“피해자들 용기가 가장 큰 역할···8개월 연구기간 중 3개월 설득”
김 연구원은 기술 개발에 “피해자들의 용기가 가장 중요했다”고 말했다.
AI가 불법촬영물이나 성착취물 등을 빠르게 찾아내려면 그 특성을 학습해야 한다. 즉 ‘실제 디지털성범죄물’이 필요하다. 피해자가 어려운 결단을 내려야 AI를 학습시킬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과정에 전체 연구기간의 3분의 1이 넘는 시간을 쓰며 공을 들였다. 실제 디지털성범죄물 피해자에게 사진·영상 사용 동의를 받는 데 전체 연구기간 8개월 중 3개월 이상을 썼다. 전문가의 의견을 구해 개인정보 동의를 구하는 문구를 다듬고, 피해자의 마음이 다치지 않게 명분을 전했다.
피해자의 귀중한 용기로 제공받은 디지털성범죄물은 모두 얼굴이 가려진 ‘비식별’ 형태로 연구진에게 전달됐다. 김 연구원은 “우리 시스템에 안면인식 기술은 쓰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해자의 얼굴 대신, 화면과 소리의 특성 등을 종합해 디지털성범죄물 여부를 판단한다.
김 연구원은 “디지털성범죄물은 대부분 저조도에서 휴대전화로 촬영돼 화면이 어둡고 흔들리거나 소음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이 패턴을 학습한 AI는 원본 영상이 편집된 버전까지 높은 정확도로 잡아낸다.
용기를 내준 피해자들이 있었지만, AI를 학습시킬 데이터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게 현실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데이터 증강’ 기법을 활용했다. 김 연구원은 “한 건의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편집해 마치 여러 건의 데이터인 것처럼 학습시키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영상 배속을 조절해서 길이를 늘이고, 자르고, 여러 방법으로 이어붙였다. 그 결과 정확도가 95%까지 올랐다.
주문한 영상과 사진을 척척 만들어내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부족한 데이터를 보충할 수 없는지 물었다. 김 연구원은 “생성형 AI는 장점이 많지만, 아직 우리 시스템에 활용할 만큼 검증되지 않았다”며 “오히려 솔루션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답했다.
“계속 잡아내고, 삭제해야죠”···기술 설계, 답은 “현장에 있다”
디지털 성범죄의 세계는 서글플 만큼 악랄하다. 성범죄물 피해자가 고통 끝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게 알려지면 그 영상은 ‘유작’이라는 이름을 달고 유포된다. 피해자의 정신세계를 옴짝달싹 못 하게 가두는 ‘그루밍’은 날로 고도화된다. ‘병 주고 약 주는’ 일들도 잦다. 성범죄물 유포자가 ‘디지털 장의사’로도 활동하면서 피해자에게 돈을 받고 영상을 삭제하는 것이다.
“사람이 싫지 않냐고요? 그보다는 계속 잡아내고, 삭제해야죠.”
김 연구원은 덤덤한 얼굴로 말했다. 그는 기술이 세상을 나아지게 할 수 있다고 믿는다.
기술이 만능은 아니다. 기술을 설계하는 사람의 역할이 결국 가장 중요하다. 김 연구원은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와 한강 교량 투신을 막기 위한 딥러닝 폐쇄회로(CC)TV를 개발한 경험을 전했다. 배회·응시 등 투신 전 행동 특성을 학습한 CCTV가 투신 시도자를 발견하면 통합관제센터에 알리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도입 후 “생존율이 98~99%까지 올랐다”고 김 연구원은 말했다.
투신 전 행동 특성을 찾아낸 것처럼 피해자 얼굴 없이도 디지털성범죄물의 패턴을 찾아냈다. 김 연구원은 “현장에 계신 분들과의 소통이 기술을 설계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피해자의 빠른 일상 회복 위해 연구···용기 잃지 마세요”
이 같은 ‘초고속’ 디지털성범죄물 검출 기술이 개발된 것은 국내 최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세계적으로도 이 같은 기술은 없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기술이 사회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어떻게 보면 부끄러운 일”이라면서도 “3년간 3단계에 걸쳐 정확도를 계속해서 보완할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성매매 알선 콘텐츠와 아동·청소년성보호법(아청법) 위반 디지털성범죄물까지 ‘원스톱’으로 잡아내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김 연구원은 “아청법 위반 성범죄물도 큰 문제이기 때문에 후속 과제로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성범죄물 삭제 지원 시스템의 첫 성적표는 오는 6월 말쯤 받아볼 수 있을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저희 연구진 모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매우 궁금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피해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냐고 물었다. 김 연구원은 “피해자분들의 고통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말을 고르기 어렵다”며 한참을 고민하다가 “연구자들이 최대한 빠른 피해자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니 용기를 잃지 마시라는 말을 해드리고 싶다”고 했다.
유경선 기자 lights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민심의 법정서 이재명은 무죄”···민주당 연석회의 열고 비상행동 나서
- 40대부터 매일 160분 걷는 데 투자하면···수명은 얼마나 늘어날까?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은반 위 울려퍼진 섬뜩한 “무궁화꽃이~”···‘오징어게임’ 피겨 연기로 그랑프리 쇼트 2위
- ‘신의 인플루언서’ MZ세대 최초의 성인···유해 일부 한국에 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