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시·군 연계 ‘광역생활권’ 밑그림…균형발전 새바람
경의권·경원권·동북권·동남권·경부권·서해안권 등 6개 권역
경기도가 급변하는 현대사회 산업 패러다임과 지역 균형 발전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광역생활권’ 정책연구에 돌입한다.
드넓은 행정구역을 지니고도 일선 시·군 간 도시계획이 연결되지 않아 인프라 시설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는 등의 각종 도시 문제를 일으켜 왔던 만큼 생활권 중심의 새로운 공간계획을 성장 발판으로 삼겠다는 의지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부터 오는 10월까지 경기연구원에 의뢰해 ‘광역생활권 공간계획 도입방안 연구’를 추진한다. 도 전체와 일선 시·군별 공간 구조의 중간 개념인 광역생활권을 도입, 개발사업을 비롯한 관련 정책의 연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 마련에 나선 것이다.
현재 도는 면적 약 1만200여㎢에 1천390만 인구를 품은 우수한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공간구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정책 전략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 왔다. 도 전체를 아우르는 도시공간 계획인 ‘경기도 종합계획’과 ‘시·군 기본계획’의 연계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시·군별 계획도 상충하는 부분이 많아 각종 도시 문제를 유발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광역 인프라 시설이 특정 지역에 편중돼 원거리 출퇴근과 교통체증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서울시의 경우 이 같은 문제를 일찌감치 간파해 지난 2018년부터 상·하위 도시계획을 잇는 중간 단계 공간계획으로 ‘5개 권역생활권·116개 지역생활권’을 운용해 왔다. 경기연구원도 앞서 지난 1월 보고서를 통해 광역생활권을 중심으로 새로운 공간계획을 도입해 ‘경기도 종합계획’과 ‘시·군 기본계획’ 간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도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협력적 도시계획과 광역적 공간관리 가이드라인을 수립한다. 도 전체 공간구조를 지역 특성을 고려한 6개 광역생활권(경의권역·경원권역·동북권역·동남권역·경부권역·서해안 권역)으로 분류, 지자체 간 공동협력으로 광역교통·녹지 체계 등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이번 연구를 광역생활권 도입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광역생활권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 발굴과 시범지역 선정뿐 아니라 세부적인 추진 방안 및 기대효과 도출에도 나선다. 지자체 간 협력으로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새로운 도약 발판으로 삼겠다는 의지다.
도 관계자는 “아직 계획 수립 단계에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안은 논의 중”이라며 “도 종합계획과 시·군별 도시계획에 이어 효율적인 공간 구조 개편과 정책 추진이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사라 기자 sara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린이만의 에너지로 현대미술 감상...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탱탱볼’
- ‘이재명·김문기 사진 첫 공개’…이기인 “내 사진에 대한 거짓말이 유죄”
- 원아 머리 킥보드로 때린 유치원 교사, 다른 원생 11명도 폭행
- 기후변화, 환경재난 ‘부메랑’… 인간·자연 공존 ‘실천교육’ [디지털과 생태를 잇는 인천교
- ‘이재명 진짜 위기는 위증교사’…한동훈 “야당 희대의 무리수 동원할 것”
- 수원 현대건설, 7연승 파죽지세…흥국생명 맹추격
- 이재명, "결코 죽지 않는다⋯나라 주인, 윤석열·김건희로 바뀌어"
- 용인서 택시 문 부수고 기사 때린 50대 입건
- 가을의 끝자락 '만추의 낙엽'[포토뉴스]
- 과천시, 네이버 라인프렌즈(IPX) 유치로 미래 신도시 가치 높인다